블록체인
FIU, 업비트에 과태료 352억원 부과···"재발 방지에 최선 다할 것"
금융정보분석원은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에 자금세탁방지법 위반 등으로 352억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현장조사에서 고객확인의무, 거래제한, 의심거래 미보고 등 860만건 이상의 위반이 적발되었다. 두나무는 재발 방지 대책을 약속했다.
[총 486건 검색]
상세검색
블록체인
FIU, 업비트에 과태료 352억원 부과···"재발 방지에 최선 다할 것"
금융정보분석원은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에 자금세탁방지법 위반 등으로 352억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현장조사에서 고객확인의무, 거래제한, 의심거래 미보고 등 860만건 이상의 위반이 적발되었다. 두나무는 재발 방지 대책을 약속했다.
블록체인
캄보디아發 자금세탁 우려에 위축된 스테이블코인···법제화 앞두고 변곡점 맞나
캄보디아발 불법 자금세탁에 스테이블코인이 주로 사용되면서 정치권과 금융권의 규제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다. 최근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대규모 테더(USDT) 거래가 적발됐고, 외국환거래법 개정 추진 및 한국은행의 위험성 경고로 스테이블코인 도입 시기가 불투명해졌다.
블록체인
비트코인 '급락에 급락' 10만달러도 붕괴···'검은 수요일' 맞은 진짜 이유는
비트코인이 9만 달러 선까지 하락하면서 가상자산 시장이 경색되고 있다. 이번 급락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연준 유동성 축소, 금리 인하 기대 약화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연준의 역레포 잔액 소진과 지급준비금 감소, TGA 계좌 확대 등 복합 요인에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졌다.
블록체인
비트코인, 美 연준 불확실성에 10만7000달러로 '뚝'···이더리움도 4% 급락
비트코인이 연말 미국 금리 인하 불확실성과 투자 심리 위축으로 11만 달러 아래로 급락했다. 비트코인 ETF 자금이 대거 유출되고, 이더리움 등 주요 알트코인도 동반 하락했다. 선물 포지션도 대규모 청산되며 시장 불안이 가중됐다.
블록체인
업비트, 캄보디아 후이원 관련 범죄 자금 차단···선제적 피해 예방
업비트가 캄보디아 후이원 거래소를 통한 자금세탁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감지해 국내 거래소 최초로 코인 입출금을 차단했다. 259명 이용자에 대해 강화된 고객확인과 의심거래보고를 실시했으며, 205명 회원에게 탈퇴를 통보하는 등 범죄 예방에 앞장섰다.
블록체인
[트럼프의 사람들] 크립토 워킹 그룹 만든 폴 앳킨스···게리 겐슬러 그림자 지우다
폴 앳킨스가 SEC 위원장으로 취임하며, 미국의 가상자산(크립토) 규제가 혁신적으로 전환됐다. 그는 디지털자산 토큰의 증권 분류를 명확히 하고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하며, 주요 소송 종결과 ETF 승인 가속 등 친(親)가상자산 정책을 펼치고 있다.
블록체인
코인 거래량 줄어들자 서학개미도 일탈...비트마인, 나홀로 '굳건'
국내 가상자산(디지털자산) 시장에서 거래대금이 4개월 연속 감소하며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서학개미들도 미국 가상자산 테마주 투자에서 이탈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더리움을 다량 보유한 비트마인은 안정적인 거래량을 유지하며 홀로 선전했다.
블록체인
캄보디아발 자금세탁 우려···금융당국, 가상자산 2단계 입법 적극 손본다
금융당국이 캄보디아 등 자금세탁 위험이 높은 가상자산 거래소와의 거래를 사전 차단하는 제도 개편을 적극 논의 중이다.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최근 급증한 코인 유출입, 미국 제재 후 국내 자동 동결 조치의 한계, 거래소의 선제 대응 사례 등이 지적됐다. 이에 금융위와 금감원은 입법 보완 및 제도권 도입, 고위험 거래소 입출금 제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증권일반
이찬진 원장 "증권·가상자산 등 불공정 영업행위 전반적으로 점검할 것"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수수료 무료 이벤트와 유관기관제비용 부담 확대 등으로 불공정 영업행위 논란이 제기됐다. 일부 증권사는 투자자에게 연간 수천만 원의 현금성 이익을 제공하며, 이는 시장질서 훼손 및 과당매매 유발 우려를 낳고 있다. 금감원은 증권사뿐 아니라 가상자산 업계까지 전반적인 점검과 제도개선을 예고했다.
은행
국내 은행,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에 이자 14.5억원 지급···전북은행 '최대'
캄보디아 범죄조직 프린스그룹에 국내 은행들이 14억5400만원의 예금이자를 지급한 사실이 드러났다. 전북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의 거래 규모는 2146억8600만원으로 재집계되었으며, 이 중 911억7500만원은 국제 제재로 동결됐다. 일부 은행이 가상자산거래소 제휴은행임이 확인되면서 자금세탁 방지와 금융당국의 추가 조사가 요구된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