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일반
원·달러 환율 고공행진에···한은, 기준금리 인하 부담감↑
원·달러 환율이 1423.0원으로 출발하는 등 5개월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미 정부 셧다운과 한미 정상회담 불확실성, 지속되는 부동산 가격 상승 등 복합 리스크로 인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11월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총 273,066건 검색]
상세검색
금융일반
원·달러 환율 고공행진에···한은, 기준금리 인하 부담감↑
원·달러 환율이 1423.0원으로 출발하는 등 5개월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미 정부 셧다운과 한미 정상회담 불확실성, 지속되는 부동산 가격 상승 등 복합 리스크로 인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11월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중공업·방산
K-방산·조선, APEC 준비 분주···트럼프 조선소 방문 여부 '촉각'
한화와 HD현대가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방산·조선 혁신 기술을 선보이는 행사를 준비 중이다. 퓨처테크포럼을 통해 글로벌 산업 이슈를 논의할 예정이나,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초단기 방한으로 국내 조선소 방문이 불확실해 업계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캐나다 대형 잠수함 수주전 또한 주목받고 있다.
제약·바이오
제임스박 롯데바이오 대표 "연말까지 추가 수주 기대"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일본 '바이오재팬 2025'에서 ADC 중심 CDMO 전략을 제시하며 일본 빅파마와 접점을 넓혔다. 미국 시러큐스와 송도를 듀얼 허브로 삼고,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 플랫폼에 투자한다. 현장 미팅과 파트너십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동차
美 관세장벽 속 보급형 테슬라 등장···속타는 현대차·기아
테슬라가 미국 전기차 시장에 보급형 모델을 출시하면서, 현대차·기아는 가격 경쟁과 고율의 미국 관세라는 이중 부담에 직면했다. IRA 보조금 종료로 구매 유인이 줄어든 가운데 테슬라가 저가 전략을 펴자 현대차·기아도 대규모 할인에 나섰으나, 관세 부담으로 영업이익 하락이 불가피해졌다.
통신
통신 3사, 공공 수주전서 격돌···비통신 확장 '잰걸음'
이동통신 3사가 공공부문 인공지능(AX)·디지털 전환(DX)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KT는 AI 파운데이션 모델 '믿:음 2.0' 기반의 공공 협업을, SK텔레콤은 AI 인프라와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앞세우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 모빌리티 사업에 집중하며, 통신 한계 돌파를 위한 신사업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전기·전자
고전하는 맏형·힘내는 아우들···LG '삼총사'의 3분기 성적표
LG전자 등 LG가(家) 전자 삼형제의 3분기 성적이 엇갈릴 예정이다. 맏형인 LG전자는 TV사업 부진 및 인력 효율화에 따른 비용 등으로 고전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아우들인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은 분발할 전망이다. 10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전자의 올해 3분기 실적 추정치는 매출액 21조2278억원, 영업이익 6005억원이다. 이는 전년대비로 보면 매출액은 4.3%, 영업이익은 20.1% 감소한 수준이다. 증권가에서는 이미 LG전자의 3분기 실적
에너지·화학
캐즘 끝?···K양극재, 3분기 흑자 기대감 '솔솔'
전 세계 전기차 캐즘(Chasm, 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이 진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국내 양극재 업체들의 3분기 실적에 청신호가 켜졌다. 10일 복수의 증권가 추정치에 따르면 국내 양극재 4대 업체(LG화학·포스코퓨처엠·에코프로비엠·엘앤에프)의 올해 3분기 합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조3142억원, 1353억원으로 예측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3조5087억원) 대비 5.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영업이익은 1년 전 같은 기간(398억원)보다 약 3배
은행
지방은행 연말 인사태풍···iM·부산·전북·광주은행장 줄줄이 임기 만료
내년 초까지 지방은행장 4명이 잇따라 임기 만료를 맞으며 금융권 인사 대이동이 예고됐다. iM뱅크는 황병우 행장 용퇴로 경영승계 절차에 돌입했고, 전북·광주은행장은 실적에 따라 연임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부산은행은 BNK금융지주 인사와 연동된 변화 가능성이 크다.
블록체인
[인터뷰]제이콥 스티브 비트텐서 창업자 "공공재 AI 만드는 것이 목표···비트코인 혁신 이어간다"
제이콥 스티브 비트텐서 창업자는 AI와 블록체인을 융합한 분산형 네트워크를 통해 비트코인 이후의 혁신적인 디지털 통화 생태계를 지향한다. 비트텐서는 인공지능 기반 탈중앙화와 공공재 가치를 강조하며, 글로벌 협력과 스테이블코인 도입으로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을 도모한다.
블록체인
사상 첫 12.6만 달러 돌파한 비트코인, 연휴 끝나자 숨고르기···알트코인 동반 하락
비트코인이 추석 연휴 중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뒤 일시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미국 셧다운, 프랑스 재정 적자 등 글로벌 경제 불안이 안전자산 수요를 높였고,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등 알트코인도 동반 하락했다. 달러 인덱스 반등과 유동성 위축, 공포·탐욕 지수 변화가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모습이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