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미반도체는 싱가포르 우드랜즈 지역에 '한미싱가포르' 현지법인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한미반도체는 마이크론의 생산 확대에 발맞춰 숙련된 엔지니어를 배치함으로써 즉각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그간에는 한미타이완을 통해 대만 타이중에 위치한 마이크론과 협력해왔다.
마이크론은 대만에 이어 싱가포르를 주요 HBM(고대역폭메모리) 생산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마이크론은 현재 싱가포르에서 낸드플래시를 생산 중이며, HBM 생산 확대를 위해 1월께 우드랜즈에 70억달러(약 10조원)를 들여 첨단 패키징 시설을 착공했다. 신규 팹은 2027년부터 HBM 생산에 나선다.
특히 싱가포르는 전 세계 반도체 생산량의 10% 이상, 웨이퍼 생산량의 5%를 차지하는 글로벌 반도체 허브로 유명하다. 마이크론 외에도 ▲글로벌파운드리(미국) ▲UMC(대만) ▲ASE(대만) ▲인피니언(독일)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VSMC(대만·네덜란드 합작) 등 다수의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현지 정부의 산업 육성 의지도 상당하다.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약 180억달러(약 20조원)를 반도체 분야에 투입했다.
곽동신 한미반도체 회장은 "한미싱가포르 현지법인을 통해 숙련된 전문 엔지니어가 마이크론에 최상의 밀착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 만족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한미반도체는 싱가포르 법인을 비롯해 한미타이완, 한미차이나, 한미베트남 등 총 4개 해외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