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현재 진행형 1000억 원 규모 주가조작 적발종합병원 운영·전 행동주의펀드 임원·금융회사 지점장 등 연루 증선위, 관련 계좌 지급정지 최초 시행···전방위 압수수색 동시 진행
23일 금융위·금감원·거래소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지난해 초부터 현재까지 1년9개월 가량 주가를 조작한 7명의 혐의자들의 자택과 사무실 등 10여개 장소에 대해 전방위 압수수색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증권선물위원회는 주가조작에 이용된 수십개의 계좌에 대해 자본시장법에 따른 지급정지 조치를 최초로 시행했다.
가담자들은 종합병원, 한의원, 대형학원 등을 운영하고 있는 사회적으로 명망 있는 재력가들이라는 설명이다. 금융회사 지점장과 자산운용사 임원, 유명 사모펀드 전직 임원 등 금융 전문가들도 공모했다.
이승우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단장은 "금융 전문가는 3~4명으로 금일 압수수색 결과를 토대로 조사를 실시하면 더 늘 수 있다"며 "이들은 정규장과 장외 거래에 모두 관여했고 대응단에선 대체거래소 관련 이상거래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의 표적이 된 종목은 유통 물량이 적은 단일 종목이다. 이들은 주가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영권 분쟁 상황도 활용했다.
주가조작 세력은 자신들이 운영하는 법인자금, 금융회사 대출금 등을 동원해 1000억원 이상의 시세 조종 자금을 조달, 유통물량의 상당수를 확보하고 시장을 장악한 후 고가매수나 허수매수, 시·종가관여 등 다양한 시세조종 주문을 통해 장기간 주가를 꾸준히 상승시켰다.
특히 이들은 자신들이 보유한 대량 주식으로 매매를 주도하면서 수만 회에 이르는 가장·통정매매 주문을 제출한 후 단기간 내 체결시키는 수법으로 거래 성황 착각을 일으켰다. 또한 금융당국의 감시망을 회피하기 위해 수십 개의 계좌를 통해 분산매매를 하고 자금 흐름을 은폐했다. 주문 IP도 조작했다.
이 단장은 "이들은 친인척 혹은 학교 선후배 등으로 인적 관계를 통해 확보한 자료를 통해 공모관계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압수수색 자료를 통해 추가 증거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가조작단이 취한 부당이득은 400억 원 수준이다. 이 단장은 "차익 실현은 1회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시세 조정 과정 자체가 가장·통정매매를 한 것이고, 그 과정에서 재매수하는 방식으로 약간의 차익이 발생하는 방식"이라며 "현재 계좌 지급 정지로 인해 주가조작 세력 계좌 속에 주식이 많이 남아 있으며, 공동 자금으로 운영한 상태라 아직 나눠 갖진 못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금융사 연루자에 대해 "현재는 3명"이라며 "수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현재까지 증권사 임직원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종합투자계좌(IMA), 발행어음 인허가 관련해선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운용사의 경우 어느 정도 관련 있는지는 앞으로 더 조사를 해봐야 하며, 전직 사모펀드 임원이 혐의자에 존재하나 단독 행동인지 어떤지는 조사를 진행해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가조작 대상이 된 기업에 대해선 "발행기업 연루 정황 증거를 확보하고 있지 않지만 부인하지 않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하고 있다"며 "경영권 분쟁 상황이 있기에 지금 단계에서 회사도 관련 있어 보인다고 말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임주희 기자
ljh@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