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서울 26℃

인천 28℃

백령 25℃

춘천 27℃

강릉 32℃

청주 28℃

수원 25℃

안동 32℃

울릉도 28℃

독도 28℃

대전 26℃

전주 32℃

광주 33℃

목포 32℃

여수 29℃

대구 31℃

울산 28℃

창원 28℃

부산 27℃

제주 30℃

유통·바이오 비만 치료 혁신 '삭센다' 복제약 미국 승인···펜믹스·한독 개발 가속

유통·바이오 제약·바이오

비만 치료 혁신 '삭센다' 복제약 미국 승인···펜믹스·한독 개발 가속

등록 2025.09.01 14:27

현정인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삭센다 제네릭이 미국 FDA 첫 승인

국내외 제약사들 관련 개발 경쟁 본격화

비만 치료 시장 판도 변화 예고

숫자 읽기

삭센다 2021년 연 매출 1억6500만 달러(한화 약 2300억원)

미국 FDA 승인받은 삭센다 제네릭, 12~17세 소아 및 성인 투여 허가

위고비 특허 만료 2031년 예정

현재 상황은

글로벌 테바 파마슈티컬스 삭센다 제네릭 미국 내 첫 승인

국내 펜믹스 임상 1상 승인, 42명 대상 시험 진행 중

한독, 인도 바이오콘과 독점 유통 계약 및 합성화학의약품 허가 추진

주목해야 할 것

삭센다 제네릭, 가격 경쟁력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기대

위고비 등 후발 주자 등장에도 삭센다 수요 견고

국내 기업들, 가격·접근성 무기로 시장 진입 박차

향후 전망

삭센다 제네릭 확산으로 비만 치료제 시장 경쟁 심화

특허 만료 전까지 가격 경쟁 본격화 예상

국내외 제약사 시장 선점 전략 주목

GLP-1 계열 제네릭 최초 FDA 비만 치료제 승인펜믹스 임상 1상 진행·한독 인도 기업과 독점 계약 체결위고비 특허 만료 전 가격·접근성 차별화 전략

비만 치료 혁신 '삭센다' 복제약 미국 승인···펜믹스·한독 개발 가속 기사의 사진

GLP-1 계열 비만 치료제 '삭센다' 제네릭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으면서 국내 제약사들의 관련 개발 움직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GLP-1은 인체 내에서 식후 혈당을 조절하고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 작용을 모방한 'GLP-1 계열' 약물은 당뇨병뿐 아니라 체중 감소 효과까지 인정받아 비만 치료제로도 각광받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사 테바 파마슈티컬스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삭센다(성분명 리라글루타이드) 제네릭에 대해 FDA 승인을 받았다. 이는 GLP-1 계열 제네릭 중 미국 내 첫 비만 치료제 승인 사례다. 해당 약물은 12~17세 소아를 포함한 성인 비만 환자에게 주사제로 투여된다.

삭센다는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가 2014년 출시한 비만 치료제다. 매일 투여하는 형태로 판매된다. 2021년 노보가 주 1회 투여하는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를 출시하며 점유율이 다소 하락했다고는 하지만 올해 6월 기준 연 매출 1억6500만 달러(한화 약 2300억원)로 여전히 견고한 수요를 유지 중이다.

위고비 특허 만료가 2031년이다. 업계에서는 가격 경쟁력을 갖춘 삭센다 제네릭이 시장 점유율 확대에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제약사들도 삭센다 제네릭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펜믹스는 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1상 승인을 받아 현재 42명을 대상으로 약동학 및 안전성 시험을 진행 중이다. 한독은 지난해 인도 제약사 바이오콘과 리라글루타이드 성분 비만 치료제 국내 독점 유통 계약을 체결하고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합성화학의약품 형태의 허가를 추진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GLP-1 계열 후발 주자인 위고비, 마운자로 등이 등장하며 삭센다 성장세가 둔화됐지만 아직 특허 만료까지 시간이 남아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개발하는 삭센다 제네릭은 가격과 접근성을 무기로 시장에서 경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