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딥러닝으로 문제 감지·해결 시간 대폭 단축IPTV 400만 고객 대상 서비스 품질 혁신 추진
LG유플러스는 26일 서울 중구 LG서울역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체 개발한 'AI 기반 고객 불편 예측 및 선제 조치 시스템'을 공개했다. 이 시스템은 IPTV나 공유기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이상 징후를 찾아내고 문제 발생 시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강봉수 LG유플러스 품질혁신센터장(상무)은 "고객이 인정하는 최고 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I 시스템을 도입했다"며 "앞으로 IPTV뿐 아니라 서비스 전 영역에 AI 적용을 확대해 고객 불만 제로화에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이 시스템은 IPTV 이용 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해 AI가 학습하고 이상 여부를 탐지하는 3단계로 운영된다. 최신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이상 탐지 정확도를 높였다.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화질 저하가 발생해도 고객이 불만을 제기하기 전 AI가 문제를 감지해 원격 재부팅 등으로 즉각 조치한다.
LG유플러스가 진행한 시범 테스트 결과 고객 불만 접수 건수가 약 10% 감소했고 불만 예측 정확도는 약 30%에 달했다. 문제 원인 분석과 해결에 걸리던 시간도 대폭 단축됐다. 수작업 데이터 분석에 7만 시간이 걸리던 것을 6시간으로 줄였고 문제 해결 소요 시간도 최대 3일에서 즉시 가능해졌다.
이 시스템은 UHD4 셋톱박스를 사용하는 90만 고객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400만 IPTV 고객 전체에 적용할 예정이다. 딥러닝 AI 모델도 지속 개선해 이상 탐지 범위와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강 상무는 "2027년부터는 완전 자율 시스템을 목표로, 고객은 쾌적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상담사와 홈 매니저는 불필요한 출동과 상담 없이 더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유선통신을 넘어 이동통신에도 적용될 전망이다. 김진만 LG유플러스 품질혁신센터 고객경험품질혁신담당은 "이동통신 신호가 약한 지역을 전국적으로 파악하고 강화하는 데 AI를 점진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