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환용변압기 등 HVDC 핵심 설비 경쟁력 확보"턴 키 역량 앞세워 GW급 대규모 사업 주도할 것"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S일렉트릭은 국내 기업 최초로 500MW급 전압형 HVDC 변환용 변압기를 개발하는 등 준비에 만전을 기하는 모습이다. 최근 개발시험은 물론 거래처 검수시험까지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해당 기기는 국내에서 개발된 전압형 HVDC 변환용 변압기 중 가장 큰 용량을 자랑하는데, 추후 인천 지역 HVDC 변환소에 적용된다.
LS일렉트릭은 2013년 국내 유일 HVDC 변환설비 공급 사업자로 선정된 데 이어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업 신뢰성과 안정적 생산 인프라까지 갖추는 데 주력해왔다. 또 HVDC 집중 투자로 압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멘스 등 글로벌 메이저 기업이 독점하는 해외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오른쪽 위부터 시계방향)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 김종우 LS일렉트릭 사장, 요한 빈델 GE버노바 그리드통합시스템 사업부 부사장, 필립 피론 GE버노바 전기화 사업부문 사장 사진=LS일렉트릭 제공
이처럼 LS일렉트릭이 HVDC 핵심 설비에 공을 들이는 것은 이재명 정부의 기조와 무관치 않다. 정부는 2030년까지 총 620km 길이의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를 구축해 호남지역 재생에너지 단지와 수도권을 전력망으로 연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해당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려면 LS일렉트릭의 역량이 필수적이다. 해외 기업 등 일부 기업에 의존할 경우 국제 정세와 환율 변동 등으로 인한 납기 지연, 비용 증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다.
덧붙여 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교류(AC) 전력을 고압의 직류(DC) 형태로 변환시켜 송전한 뒤 최종 소비처 인근에서 다시 교류로 변환해 공급하는 기술인데, 교류 송전보다 손실이 적고 지중·해저 케이블 적용에 유리하다는 특성을 지닌다.
LS일렉트릭은 수요 증가에 대응해 약 1008억원을 투자해 부산사업장에 제2 생산동을 증설하고 있다. 2생산동은 1만3223㎡(약 4000평) 부지에 들어서며 4분기 중 준공과 함게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가동을 시작하면 LS일렉트릭의 부산사업장 초고압 변압기 생산능력은 연간 1800억원 규모에서 6000억원 수준으로 크게 뛴다.
아울러 LS일렉트릭은 2011년 총 1100억 원을 투자해 부품 입고부터 성능검사, 조립, 시험, 시운전까지 가능한 HVDC 전용공장을 부산 진해 경제자유구역 화전산업단지에 구축한 상태다. 이듬해엔 ±80kV HVDC 변환용 변압기를 개발하고 실증단지인 제주 금악변환소에 설치하기도 했다.
그간의 성과도 눈여겨볼 만하다. LS일렉트릭은 2009년 한국전력공사, LS전선(해저케이블), 대한전선(케이블)과 공동 연구에 착수하며 HVDC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후 ▲3180억원 규모 북당진-고덕 간 서해 HVDC 1단계 프로젝트 ▲1600억원 규모 신울진(신한울)~신가평간 HVDC 구축 사업 등을 수주했고 작년에도 동해안~수도권 HVDC 사업에 핵심 변환설비를 공급했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전류형 HVDC 변환설비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압형 기술도 신속하고 확실하게 확보할 것"이라며 "향후 국내외 HVDC 사업에서 일괄 공급이 가능한 턴 키 역량을 앞세워 GW급 대규모 사업을 주도하겠다"고 자신했다.
정부는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에 11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그 중 변환설비 관련 예산은 4조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밖에 2040년까지 남해와 동해를 연결하는 U자형 전국 에너지 송전망을 완성할 예정인데, 이 송전망 프로젝트의 총 사업비는 20조원을 웃돌 전망이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