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1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1대 1.2는 황금비율"···소액주주 끌어안은 SK

산업 에너지·화학 SK 리밸런싱 본격화

"1대 1.2는 황금비율"···소액주주 끌어안은 SK

등록 2024.07.17 19:36

수정 2024.07.18 08:27

차재서

  기자

공유

SK이노베이션 가치 띄운 과감한 선택에 주목소액주주 배려해 '최적의 시나리오' 설계한 듯 남은 숙제는 E&S 재무적 투자자 'KKR' 설득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SK그룹이 이노베이션과 E&S의 합병비율을 '1대 1.2'로 책정했다. 사실상 '대등합병'을 예고한 셈이다. 두 회사를 향한 시장의 평가가 엇갈리는 가운데 어느 한 쪽에 치우지지 않으면서 반발을 최소화할 시나리오를 설계한 것으로 풀이된다. 초대형 에너지 기업 출범의 첫 관문을 넘어선 SK가 앞으로 이해관계자를 어떻게 설득할지 관심이 쏠린다.

17일 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이날 각각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양사 합병안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과 E&S는 다음달 27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안건을 표결에 부친 뒤 오는 11월1일 106조원대 자산을 보유한 초대형 에너지 기업의 문을 열 예정이다.

그룹 에너지 중간 지주사와 '알짜' 비상장사의 통합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모았던 양사의 합병비율은 1대 1.1917417로 정해졌다. SK이노베이션 주식 가치를 1주당 11만2396원, E&S는 13만3947원으로 놓고 산출한 수치다. 이에 따라 상장사 이노베이션이 합병신주를 발행해 E&S 주주 SK㈜에 4976만9267주를 교부한다. 거래 후 통합법인에 대한 SK㈜의 지분율은 36.22%에서 55.9%로 상향될 전망이다.

재계에서는 두 회사의 가치를 비슷하게 책정한 SK 측 판단에 파격적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증권가의 예상을 깬 결과가 도출됐기 때문이다.

당초 시장에선 양사의 합병비율이 '1대 2'에 수렴할 것으로 내다봤다. SK E&S의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지 않겠냐는 얘기다. 과거 E&S가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했을 때 보통주 1주당 가치를 약 29만원으로 평가받았는데, 여기에 12만원 수준인 이노베이션 주가를 반영하면 이 정도가 적합하다는 인식에서다. 또 SK㈜가 지분 90%를 들고 있는 만큼 E&S에 더 높은 값을 매기는 게 지배력 강화 차원에서 더 유익하다는 시선도 있었다.

아울러 글로벌 사모펀드 운용사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SK E&S 상환전환우선주를 3조1350억원어치나 보유하고 있다는 것도 이러한 논리에 힘을 보탰다. 자신들에게 불리하다는 판단이 서면 투자금 중도 상환을 요구할 수 있다는 이유다.

그럼에도 SK가 이노베이션의 가치를 상대적으로 후하게 쳐준 것은 소액주주의 반발 가능성을 고려한 조치로 보인다. 가뜩이나 저평가 받는 지분 가치가 합병으로 더 희석되면 논란이 불거지는 것은 물론, 새 출발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 있으니 부정적 이슈를 선제적으로 차단하려는 것이란 분석이다. 이노베이션은 이날 주당 약 12만원에 장을 마쳤다. 합병 소식에 최근 들어 눈에 띄게 상승하긴 했으나, 한 때 30만원까지 뛰었던 것을 고려하면 턱없이 적은 액수다. 일단 그룹의 과감한 선택에 힘입어 이노베이션의 임시 주총은 순조롭게 풀릴 것으로 점쳐진다.

SK의 남은 숙제는 KKR을 어떻게 설득하느냐다. E&S의 가치가 낮게 책정되면서 자신들의 몫이 줄어든 만큼 어떤 방식으로든 의견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때 SK로서는 불만을 잠재울 조건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사회 결의 후 박상규 SK이노베이션 사장은 "양사의 합병은 에너지 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혁신"이라며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의미를 공유했다.

추형욱 SK E&S 사장도 "합병으로 양사 모두 기존 사업역량을 강화하고 미래 에너지 핵심 사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4대 핵심사업 중심의 그린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