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인뱅 3사, 자산건전성 악화···중저신용자 대출 증가세 '주춤'

금융 은행

인뱅 3사, 자산건전성 악화···중저신용자 대출 증가세 '주춤'

등록 2023.05.29 10:55

김다정

  기자

공유

인터넷전문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악화되자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 증가세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박혜수 기자인터넷전문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악화되자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 증가세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박혜수 기자

인터넷전문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악화되자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 증가세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박혜수 기자인터넷전문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악화되자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 증가세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박혜수 기자

인터넷전문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악화되자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 증가세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은 카카오뱅크 25.7%, 케이뱅크 23.9%, 토스뱅크 42.06%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이 비중이 지난해 12월 말 대비 각각 0.3%포인트(p), 1.69%p 늘었지만, 케이뱅크는 1.2%p 줄어들었다.

지난해 4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증가 폭이 카카오뱅크 2.2%p, 케이뱅크 0.4%p, 토스뱅크 1.37%p 등을 기록했지만, 올해 1분기에는 전반적으로 증가 폭이 둔화했다.

시장에서는 이같은 둔화세가 지난해 인터넷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늘려 건전성 지표가 악화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한다.

금융당국은 지난 2021년 인터넷 전문은행이 중·저신용층에 대한 대출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출범 취지에 맞게 영업하도록 중·저신용 대출 규모를 늘리도록 주문한 바 있다.

3월 말 기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연체 기간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각각 1250억원, 112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각각 92.6%, 126% 증가한 수치다.

연체율의 경우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1분기 0.26%에서 올해 1분기 0.58%로 올랐고, 케이뱅크도 같은 기간 0.48%에서 0.82%로 높아졌다.

이런 건전성 지표 악화에 대응해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도 늘어났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충당금 전입액은 55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202억원)의 2.5배 수준이었으며, 케이뱅크는 612억원으로 작년 동기(207억원)의 3배 규모로 적립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