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지난해 기업 매출·총자산 증가율 역대 최대···코로나19 기저효과

지난해 기업 매출·총자산 증가율 역대 최대···코로나19 기저효과

등록 2022.10.19 15:47

한재희

  기자

공유

유가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수요 회복 등 영향수익성 지표도 양호···영업이익률·순이익률 상승다만 10곳 중 4곳 한계기업···역대 두번째로 높아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기업들의 매출액과 총자산 증가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다만 기업 10곳 가운데 4곳에 번 돈으로 이자도 낼 수 없는 '한계기업' 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업종별 희비가 갈린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1년 기업경영분석' 통계를 보면 기업들의 지난해 매출은 1년 새 17.0% 증가했다. 매출은 2020년 1.1% 감소에서 증가세로 전환한데 이어 지난 200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연간 증가율이 가장 높게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국내 비금융 영리법인기업 85만8566곳 전체를 대상으로 했다.

유가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는 등 수요가 일부 회복된 영향이다.

제조업이 2020년 -2.3%에서 18.1%로 높아졌다. 석유정제(-34.1%→49.3%), 화학업(-8.0%→28.1%) 등의 상승 폭이 크게 나타났다.

비제조업의 매출증가율 역시 2020년 -0.01%에서 지난해 16.2%로 상승 전환했다. 운수·창고업(-8.1%→29.9%)의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연간 총자산증가율을 보면 2020년 7.9%에서 2021년 12.7%로 증가 폭이 확대됐다. 역시 지난 200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수익성 지표도 양호했다. 지난해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5.6%을 기록해 2020년 4.2%와 비교해 높아졌다.

전자·영상·통신장비업(8.4%→12.9%), 석유정제업(-5.9%→5.9%), 운수창고업(0.5%→7.2%) 등을 중심으로 영업이익률이 올랐는데 글로벌 수요 증가, 유류제품 가격 스프레드 확대 등 대외여건 변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매출액 세전 순이익률 역시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영업외수지 흑자 전환 등 영향으로 6.5%를 기록했다.

재무 안정성 지표인 부채비율을 보면 지난해 말 120.3%로 2020년말 118.3%보다 상승했다. 차입금의존도는 2020년 말 30.4%에서 지난해 말 30.2%로 소폭 하락했다.

다만 지난해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한계기업' 비중은 40.5%를 기록했다. 전년도 40.9%로 역대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역대 두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은 기업이 한 해 동안 번 돈으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지난해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 비용)이 100% 미만인 기업 비중은 소폭 감소했지만 500% 이상의 기업 수 비중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대진 한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한계기업의 경우 정보통신과 부동산업종에서 비중이 늘었고 조선업도 상대적으로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