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전경련 "대기업, 대내외 불확실성에 하반기 채용시장 불투명"

전경련 "대기업, 대내외 불확실성에 하반기 채용시장 불투명"

등록 2022.09.04 11:00

윤서영

  기자

공유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올해 하반기 채용시장이 글로벌 공급망 이슈와 고물가·고금리·고환율 '3고(高) 현상'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폭으로 불투명할 전망이다.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기준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대기업 10곳 중 6곳은 올해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신규채용이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신규채용 계획 미수립 기업은 44.6%로 전년 동기 대비 9.9%포인트(p) 줄었지만, 채용을 하지 않겠다는 기업은 17.4%로 지난해 같은 기간(13.3%)보다 증가했다.

하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대기업 비중은 38.0%로 전년 동기(32.2%)보다 늘었다. 이 가운데 채용규모가 작년과 비슷한 기업이 50%로 가장 많았으며 작년보다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이 37%, 작년보다 채용을 줄이겠다는 기업이 13%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불구하고 고용여력이 있는 기업들은 고용 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신규채용을 하지 않거나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겠다고 한 이유에 대해 '추가인력 수요 없음(3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회사 사정(구조조정, 긴축경영 등)의 어려움(20%)', '코로나19 장기화와 공급망 불안 등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악화(12%)', '필요한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 어려움(12%)', '경력직 채용 또는 수시채용 위주 채용(8%)', '고용경직성으로 인한 기존 인력 구조조정의 어려움(6%)' 등의 순이었다.

신규채용을 늘리겠다고 응답한 기업들 중 41.2%는 '경기상황에 관계없이 미래의 인재 확보 차원'이라고 응답했으며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에 대한 인력 수요 증가(29.4%)', '회사가 속한 업종의 경기상황이 좋거나 좋아질 전망(17.6%)' 등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3고 현상과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등 대내외 여건 악화로 인해 하반기 기업 실적과 투자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는 점을 감안하면 고용시장은 이번 조사 결과보다 더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뉴스웨이 윤서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