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조직 안정’ 택한 하나금융, 김정태 ‘1년 더’(종합)

‘조직 안정’ 택한 하나금융, 김정태 ‘1년 더’(종합)

등록 2021.02.24 19:03

수정 2021.02.24 20:47

주현철

  기자

공유

차기 회장 단독 후보 선정···내달 주총서 최종 확정코로나19 여파 대응 고려···“조직 안정 적임자 판단”

사진= 하나 제공사진= 하나 제공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1년 더 하나금융을 이끈다.

24일 하나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는 이날 김 회장과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 박성호 하나은행 부행장, 박진회 전 씨티은행장 등 4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한 결과, 김 회장을 회장 단독 후보로 추천한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내달 정기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차기 회장으로 확정된다.

윤성복 하나금융 회추위원장은 “코로나19의 여파로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조직의 안정 및 급변하는 금융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글로벌 및 ESG 분야 등에서 그룹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김정태 현 회장이 최고 적임자라고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로써 2012년부터 하나금융의 수장을 맡아 왔던 김 회장은 4연임에 성공하며 최고경영자 자리를 유지하게 됐다. 금융권에서는 라응찬 전 신한금융 회장에 이어 두 번째 4연임 회장이다. 다만 과거 3년씩 보장받았던 임기는 이번에 1년으로 제한될 전망이다. 하나금융 내규에 따르면 만 70세까지만 회장직을 역임할 수 있어서다. 김 회장은 올해 만 69세다.

김 회장은 1952년 부산에서 태어나 성균관대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1981년 서울은행에 입사했고, 1992년 하나은행에 합류했다. 2005년 하나금융 부사장, 2007년 하나대투증권 대표, 2008년 하나은행장을 역임했다. 이후 2012년 하나금융 회장에 오른 뒤 2015년, 2018년 각각 연임에 성공했다.

당초 김 회장은 스스로 연임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혀왔지만 차기 회장 후보군이 법률 리스크에 노출된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금융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정적인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며 김 회장은 결국 회사의 안정을 위해선 재신임이 필요하다는 요구를 받아들였다.

윤 위원장은 “회추위는 김정태 현 회장이 그동안 하나금융그룹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왔으며 탁월한 실적으로 주주와 손님, 그리고 직원들로부터 능력을 인정받아 왔다는 점도 높게 평가했다”고 밝혔다.

한편 회장 임기 연장이 결정된 후 김정태 회장은 “무거운 책임감을 안고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위기를 극복하고 그룹의 조직 안정화에 헌신하겠다”는 짧은 소회를 남겼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