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7주만에 꼬리내린 박원순···“시장 혼란만” 거센 비판

7주만에 꼬리내린 박원순···“시장 혼란만” 거센 비판

등록 2018.08.26 15:28

수정 2018.08.27 08:34

김성배

  기자

공유

용산·여의도 통개발 플랜 전면 보류서울 집값 폭등 등 벌집되자 한발빼김현미 장관 갈등설과 대권도 감안포기 아닌 보류···시장잡기 미지수

7주만에 꼬리내린 박원순···“시장 혼란만” 거센 비판 기사의 사진

박원순 서울시장이 용산 여의도 통개발 계획을 발표한지 7주만에 사실상 집값 띄우기 등 정책을 전면 보류한 건 서울 집값 폭등 등 시장 과열은 물론 그의 대권 행보와도 관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여의도 용산 마스터 플랜이란 박원순 서울 시장이 7월 10일 싱가포르 방문 중 동행기자단과 간담회에서 여의도 용산 통개발 청사진을 밝힌 것이다.

그러나 이 마스터플랜 발표이후 서울 집값이 연일 폭등하는 등 시장 과열에 기름을 붓자 그가 한달 보름만에 꼬리를 내린 셈. 특히 서울 부동산 시장이 벌집이 되는 등 무책임한 행동으로 혼란만 야기했다는 비판이 쇄도하고 있다.

실제 박 시장 발언 이후 여의도 주요 아파트 단지의 호가는 단번에 1억~2억원 오르고 그마저 수요자들의 문의가 이어지가 거둬들이는 등 과열 양상을 보였다.

용산의 상황도 마찬가지. 이같이 호가를 크게 띄워 내놓은 매물이 거래가 되면 이 거래가가 다시 실거래가가 되면서 호가가 또다시 수천씩 뛰는 과열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서울 전체로도 부동산 투기가 번지고 있다. 서울 투자세력은 물론 지방원정 투자까지 성행하면서 8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37% 상승하며 지난 1월 넷째 주(0.38%) 이후 가장 높게 집계됐다. 올해 서울 집값도 4.73%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고공행진만 거듭하고 있다.

이렇다보니 박 시장이 더이상 버티지 못하고 용산 여의도 마스터플랜을 보류하기로한 것으로 관측된다.

무엇보다 김현미 장관과의 파열음도 부담이 됐을 것으로 분석된다. 김 장관은 지난해 8.2대책 이후 투기와의 전쟁을 이어가며 최근에도 투기지역이나 투기과열지구 추가지정을 비롯, 공시지가 현실화 계획 발표 등 연일 시장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박 시장은 서울 부동산을 사실상 뛰우고 김 장관은 다잡기에 나서면서 이들간 엇박자로 시장 혼란을 야기한다는 비난의 화살을 받고 있었던 만큼 그가 특단의 조치를 내놔야 한다는 여론이 수면위로 등장하고 있었다.

박 시장이 대권 행보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해찬 의원이 더불어 민주당 대표로 선출되며 일부 잠룡들이 수면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박 시장도 튀는 행보를 하긴 부담이 됐을 것이란 관측이다.

일부 시장에선 최근 여의도 용산 마스터 플랜이 눈에 띄는 업적이 적은 박 시장이 대권 도전을 위한 카드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있을 것으로 봐 왔다. 이로써 박 시장도 대권 행보에 일부 쉼표가 찍힐 수 있다는 분석마저 벌써부터 흘러나오고 있다.

그러나 마스터플랜 보류 선언에도 과열된 서울 시장 심리를 반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마스터플랜 포기가 아닌 잠정 보류인데다가 서울 강북 개발 계획 등 또다른 서울 대책을 포기한 건 아니어서 여전히 부동산 시장에 불이 붙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한달 남짓만에 보류할 정책을 왜 발표했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이 발언 하나로 서울 부동산 시장이 벌집이 됐고, 고삐가 풀려 잡기 어려운 지경까지 이르렀다. 그의 무책임한 행동 하나가 시장 혼란을 야기한 만큼 후속조치까지 필요해 보인다"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