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 도계위 심의 통과
서울시는 11일 열린 ‘제8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성동구 성수동 도시재생시범사업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면적 88만6560㎡)에을 ‘원안가결’ 했다고 12일 밝혔다.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은 지역발전과 도시재생을 위해 추진하는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을 연계, 종합적으로 수립하는 실행계획을 말한다.
성수동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사업대상지의 약 80%가 준공업지역으로서 60년대 이후 봉제·수제화·금속·IT 등 서울의 산업경제를 선도해왔으나 지난 2000년대 이후 대기업 하청구조, 인력 고령화, 열악한 작업환경, 임대료 상승 등의 문제로 토착산업 쇠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주거와 산업이 혼재돼 있어 정주환경 개선에 대한 주민 요구가 높은 지역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2014년 12월 서울형 도시재생시범사업 공모를 통해 성수동 일대 88만 6560㎡를 사업대상지로 선정했으며 남진 서울시립대 교수를 총괄계획가로 위촉해 지난 2015년 4월부터 약 1년간 주민설문조사, 찾아가는 설명회, 주민워크숍, 도시재생 아카데미 등을 통해 약 300개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후 2016년 2월경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수렴된 주민의견을 바탕으로 약 6개월간 각 분과별(주민분과, 소상공인분과, 문화예술분과, 사회적경제분과) 워크숍, 소모임, 주민총회 등을 통해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을 마련했다.
성수동 도시재생사업은 ▲일터재생 ▲삶터재생 ▲쉼터재생 ▲공동체재생 등 4개 분야, ▲성장가도 산업혁신공간 조성 ▲성장가도 교각하부 공간개선 ▲우리동네 안심길 조성 ▲생활자전거 순환길 조성 ▲지역문화 특화가로 조성 ▲성장지원센터 건립 ▲나눔공유센터 건립 ▲주민역량 강화사업 등 8개 사업이다.
오는 2018년까지 마중물 사업비 총 100억원(서울시 90억원, 성동구 10억원)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외에도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공공임대점포 취득’, ‘성수동 도시경관 사업(수제화거리, 상원길)’,‘성수 근린공원 화장실 리모델링’, ‘사회적경제지원센터 건립’ 등 총 23개사업 443억원이 서울시․자치구․민간에서 추가 투입될 예정이다.
국승열 서울시 주거재생과장은 “성수동 도시재생사업은 지역 내 사회적경제조직, 상공인, 문화예술인, 주민 등 다양한 참여주체를 기반으로 산업과 일터, 공동체재생 중심의 선도적인 도시재생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서울시와 성동구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보미 기자
lbm929@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