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2012년 주거실태조사’ 결과 소득의 30% 이상을 집세로 쓰는 ‘임대료 과부담 가구’는 2년 전보다 48만2000가구(25.3%) 늘어난 238만4000가구로 추정됐다.
렌트 푸어 가구들을 임차 형태별로 보면 전세가 68.0%(162만1000가구)로 가장 많았고 보증부 월세 27.7%(66만1000가구), 월세 4.2%(10만1000가구)였다.
조사결과 전세 세입자의 42.8%, 보증부 월세 세입자의 20.4%, 월세 세입자의 23.1%가 소득의 30%가 넘는 집세를 부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세 보증금의 이율을 8%로 계산했을 경우다.
렌트 푸어 가구를 소득계층별로 보면 ‘중위소득 50% 초과, 150% 이하’의 ‘중소득층’이 111만2000가구로 가장 많았다. 중위소득 50% 이하의 ‘저소득층’이 77만4000가구로 뒤를 이었다.
중위소득의 150%가 넘는 상대적 고소득층 중에서도 49만7000가구는 소득에 비해 과중한 집세를 내고 있었다.
저소득층 렌트 푸어 가구의 약 3분의 2(62.0%)를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렌트 푸어 가구 증가와 함께 전체 세입자의 임대료 부담 비율도 늘어났다. 임차가구의 소득 대비 임대료 부담 비율은 지난 2008년 22.8%에서 2010년 23.1%로 지난해 26.4%로 꾸준히 증가했다.
진미윤 LH수석연구원은 “주택시장 상승으로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중소득층에서도 주거비 부담이 커졌다”며“‘주택바우처’ 같은 주거비 지원사업이 성공하려면 민간 임대차 시장의 가격을 일정 부분 규제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성동규 기자 sdk@

뉴스웨이 성동규 기자
sdk@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