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서울 22℃

인천 23℃

백령 19℃

춘천 21℃

강릉 18℃

청주 21℃

수원 22℃

안동 18℃

울릉도 23℃

독도 23℃

대전 22℃

전주 21℃

광주 21℃

목포 23℃

여수 23℃

대구 21℃

울산 22℃

창원 23℃

부산 22℃

제주 25℃

스테이블 코인 검색결과

[총 147건 검색]

상세검색

트럼프 형제 "한국, 아시아 디지털자산 리더 자격 있어···금융 민주화 기회 왔다"

블록체인

트럼프 형제 "한국, 아시아 디지털자산 리더 자격 있어···금융 민주화 기회 왔다"

트럼프 일가의 디지털자산 사업을 이끄는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 트럼프가 코리아블록체인위크 2025에서 한국 시장의 블록체인 잠재력과 금융 민주화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두 사람은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의 성장, 한국의 글로벌 리더십, 디지털자산 산업의 미래를 강조했다.

황건일 금통위원 "한은, 더 적극적 역할 필요···가계부채 잡혀야 금리인하 하는 것은 아냐"

금융일반

황건일 금통위원 "한은, 더 적극적 역할 필요···가계부채 잡혀야 금리인하 하는 것은 아냐"

황건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위원은 한국은행의 역할에 대해 "좀 더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준금리 향방에 대해서는 "금리를 결정할 때 중요한 변수는 가계부채 문제와 연계된 부동산 문제"라면서도 "가계부채와 집값이 잡혀야 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카이아·라인 넥스트, 스테이블코인 앱 출시···SDK도 선봬

블록체인

카이아·라인 넥스트, 스테이블코인 앱 출시···SDK도 선봬

카이아 DLT 재단과 라인 넥스트가 스테이블코인 기반 웹3 슈퍼앱인 프로젝트 유니파이를 출시했다. 유니파이는 다양한 국가 통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하며, 올해 내 베타 서비스 공개와 함께 결제·송금·NFT·게임 등 소비자 중심의 핀테크 기능을 선보일 예정이다. SDK로 개발자와 발행사 지원도 강화한다.

양종희 KB금융 회장, '테더 USAT' CEO 만난다···스테이블코인 협력 논의

금융일반

양종희 KB금융 회장, '테더 USAT' CEO 만난다···스테이블코인 협력 논의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이 오는 22일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Tether)의 미국 특화 법인 '테더 USAT' 최고경영자(CEO) 보 하인스(Bo Hines)를 만난다. 19일 KB금융에 따르면 양 회장은 22일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신관에서 보 하인스를 만나 ▲국내외 디지털 자산 규제 환경 변화에 대응한 스테이블코인 사업 기회 발굴 ▲글로벌 디지털 금융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테더는 세

청사진 밝힌 위메이드표 스테이블코인···"결제 특화 메인넷 출시로 글로벌 트렌드 대응"

블록체인

청사진 밝힌 위메이드표 스테이블코인···"결제 특화 메인넷 출시로 글로벌 트렌드 대응"

위메이드는 새로운 스테이블코인과 메인넷 '스테이블원'을 공개하며 국내 디지털자산 생태계 혁신을 예고했다. 실물자산 연계, 안전한 키 관리, 컴플라이언스 강화 등 기존 블록체인 한계 극복 방안을 제시했으며, 금융 시장의 변화와 글로벌 트렌드 대응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트럼프 2기 경제 설계자' 스티븐 미란, 연준 입성···스테이블코인도 부상

블록체인

[트럼프의 사람들]'트럼프 2기 경제 설계자' 스티븐 미란, 연준 입성···스테이블코인도 부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임과 함께 경제정책 설계자 스티븐 미란이 연준 이사로 지명됐다. 미란은 달러 약세 전환, 관세 조정, 고용 회복을 추구하며, 민간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육성을 통한 국채 수요 증가를 모색한다. 이와 함께 미국은 CBDC를 거부하고 국가 자본주의 전략을 본격화했다.

iM증권, "가상자산 거래소 사업 다변화···금융 플랫폼 대응해야"

블록체인

iM증권, "가상자산 거래소 사업 다변화···금융 플랫폼 대응해야"

국내외 가상자산 거래소가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토큰화 증권, 대출, 결제 등 금융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며 금융업계에 새로운 경쟁 압력을 가하고 있다. 해외 주요 거래소는 이미 수익 다변화를 이뤘으나, 한국은 거래수익에 집중된 구조다. 사업 다각화가 전통 금융 생태계 구조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