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태영건설 유동성 위기 심화···미분양·차입금 부담 '이중고'
태영건설이 부채비율 900%를 넘어서며 워크아웃 상태에서 재무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단기차입금과 사채가 빠르게 늘고, 현금자산은 줄어들어 유동성 위기가 가중됐다. 분양 실적 부진과 함께 우발부채도 2조7천억원을 넘기며 구조조정 장기화 우려가 나온다.
[총 166건 검색]
상세검색
건설사
태영건설 유동성 위기 심화···미분양·차입금 부담 '이중고'
태영건설이 부채비율 900%를 넘어서며 워크아웃 상태에서 재무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단기차입금과 사채가 빠르게 늘고, 현금자산은 줄어들어 유동성 위기가 가중됐다. 분양 실적 부진과 함께 우발부채도 2조7천억원을 넘기며 구조조정 장기화 우려가 나온다.
건설사
법원, 남양건설 두 번째 회생계획 인가
30일 광주지법 파산1부(유석동 부장판사)는 남양건설 주식회사의 회생계획 인가를 결정 공고했다. 재판부는 인가 요지에 대해 "관리인이 제출한 회생계획안이 지난 27일 관계인 집회에서 가결됐고 관련 법률에서 정한 요건을 구비했다"고 밝혔다. 법원이 회생 개시를 결정한 지난해 8월 23일 기준 남양건설의 자산은 총 692억1860만원, 부채는 총 1023억3177만원으로 자본 잠식 상태였다. 앞서 남양건설은 2010년 4월에도 법정관리를 신청해 6년 4개월만인 2016년 8월
분양
분양업계, 양극화 몸살···4분기 분양 강행 오리무중
전국 분양시장이 갈라진 흐름을 드러내고 있다. 서울·수도권 핵심 입지에서는 청약 광풍이 몰아치고 있지만, 경기 외곽과 지방에선 청약 미달이 잇따르며 시장 양극화가 심화하는 양상이다.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분양시장이 갈수록 위축되는 상황이지만, 분양가가 수십억원에 달하는 일부 무순위 청약(줍줍)에는 대기 행렬이 늘어지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달 말까지 전국 19개 단지가 1·2순위 청약을 진행했지만, 순위 내 청
분양
지난달까지 아파트 분양 물량 15만가구 미달···공급 불안 심화
올 한해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이 최대 23만∼24만가구에 그치면서 지난해 수준에도 미달할 전망이다. 집값 상승으로 불안한 서울의 분양 가뭄이 지속되며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5일 부동산R114 조사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민간 아파트 분양물량(임대 포함)은 총 14만8836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연간 분양물량(37만7000가구)의 40%에도 못 미치는 규모다. 분양 시장이 위축됐던 지난해 24만4000가구보다도 10만가구 가까이 적다. 건설업
건설사
건설사 줄도산 공포 되풀이···구조적 부실 외면 대가
국내 건설업계가 미분양과 부채비율 급증, PF위기 및 금융대출 경색 등 구조적 문제로 줄도산 위험에 직면했다. 올해 들어 건설사 폐업이 증가하고 중견사 중심의 연쇄 법정관리 신청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의 근본적인 건설업 구조개편과 체계적인 위험 관리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건설사
[6.27 대책 후폭풍] "꿈틀대던 분양 시장에 찬물···인천·경기는 왜?"
"원가 상승으로 분양가가 급등했지만 목돈 대출길이 막히면서 무주택자들의 서울 진입 장벽은 더 높아졌다. 회복 기미를 보이던 분양 시장에 찬물을 끼얹은 듯하다." (대형건설사 분양팀 관계자) 6.27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면서 분양 업계는 거센 후폭풍에 휩싸였다. 정부가 6월 28일부터 수도권과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까지 금지하는 초강력 대출 규제를 단행했다. 이에 따라 분양업계와
금융일반
[부동산PF 후폭풍] 지방 건설·부동산 부실 대출 '위험 수위'···지방은행 '경고음' 더 커졌다
지방 부동산 시장 침체로 부실 대출과 미분양이 급증하면서 지방은행 연체율이 전국 은행의 두 배에 달하고 있다. 중소 건설사 연쇄 파산과 PF 대출 확대가 맞물리며 금융권 전반 불안이 확산된다. 구조적 정책 개선과 산업 재편이 시급한 상황이다.
건설사
지방 미분양 늪, 중견·중소건설사 지뢰밭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시장 격차가 건설업계에 최대 위협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서울과 수도권 선호 지역의 거래 회복세와 달리,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위축이 지속되며 중소·중견 건설사 연쇄 도산의 뇌관이 되고 있다. 특히 지난 몇 년간 쌓인 악성 준공 후 미분양 문제가 최근 건설업계 자금난에 결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지방 사업 부진에 법정관리·거래정지 속출 23일 국토교통부 건설업행정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 현
건설사
올해 청약 단지 67% 미달···브랜드 편중 심각
올해 청약을 진행한 단지 중 67%가 모집인원을 채우지 못했다. 주로 지방에서 미분양이 집중된 반면, 대형 건설사가 시공한 아파트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체 부동산 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대형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건설사
'흑자' 건설사 줄도산···관건은 현금흐름
건설업계에서 회계상 이익을 나타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금 회전 불능, 원가 관리 실패와 미분양 문제로 도산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시공능력 상위 기업까지도 영업현금흐름의 적자 상태로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재무적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