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서울 22℃

인천 23℃

백령 23℃

춘천 20℃

강릉 23℃

청주 24℃

수원 22℃

안동 22℃

울릉도 25℃

독도 25℃

대전 24℃

전주 25℃

광주 23℃

목포 25℃

여수 25℃

대구 24℃

울산 24℃

창원 25℃

부산 24℃

제주 27℃

낸드플래시 검색결과

[총 29건 검색]

상세검색

D램 가격 5개월 연속 상승···범용 DDR4도 가격 폭등

전기·전자

D램 가격 5개월 연속 상승···범용 DDR4도 가격 폭등

메모리 반도체 D램과 낸드플래시의 월평균 가격이 5개월 연속 상승했다. 이 가운데 범용 제품인 DDR4 가격도 6년 6개월만에 5달러를 넘어섰다. 29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8월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1Gx8)의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달보다 46.2% 급등한 5.7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각각 22.22%, 27.27%, 23.81%, 50.0% 오른 데 이어 다섯 달 연속 급등한 규모다. 특히 DDR4 평균 고정거래가격이 5달러를 넘어선

'HBM 질주 선언' SK하이닉스···하반기 투자 더 늘린다 (종합)

전기·전자

'HBM 질주 선언' SK하이닉스···하반기 투자 더 늘린다 (종합)

SK하이닉스가 HBM(고대역폭메모리)을 선점한 결실이 올해 2분기 빛을 발했다. 올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며 '어닝 서프라이즈' 성적표를 내보였다. 이 기세를 몰아 하반기에도 거침없는 질주를 예고했다. 올해 HBM 출하량을 지난해보다 두 배 늘리고, 내년 수요 대비를 위해 올해 선제 투자를 늘린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SK하이닉스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22조2320억원, 영업이익 9조2129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밝

KB증권 "SK하이닉스, 반도체 호황 전망" 목표가 28만원 제시

증권일반

KB증권 "SK하이닉스, 반도체 호황 전망" 목표가 28만원 제시

KB증권은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28만원으로 유지하며, 메모리 수요 증가가 D램과 NAND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3분기부터 HBM3E 12단 블랙웰 울트라의 출하가 본격화되며 영업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생산 증가율은 수요를 밑돌지만, 이는 자연 감산 효과를 통해 공급 부족을 심화시킬 전망이다.

WD·키옥시아 합병설 재점화···SK하이닉스의 선택은?

전기·전자

WD·키옥시아 합병설 재점화···SK하이닉스의 선택은?

일본 키옥시아와 미국 웨스턴디지털의 합병설이 다시 주목받으며, SK하이닉스의 전략적 판단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두 기업의 합병은 낸드플래시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으며, SK하이닉스는 키옥시아에 대한 간접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합병 논의는 양사의 개별 상장 이후 가치를 명확히 하며 재개되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투자자산의 극대화 방안을 고민 중입니다.

'D램 강자' SK하이닉스, 올해 첫 농사 장소는 용인

전기·전자

'D램 강자' SK하이닉스, 올해 첫 농사 장소는 용인

SK하이닉스가 올해 첫 반도체 사업을 '기회의 땅' 용인에서 시작한다. 이번 사업은 SK하이닉스가 10년간 약 120조원을 투자해 메모리 팹 4곳을 짓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회사는 전 세계 수요가 급증하는 인공지능(AI)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조단위 실탄을 쏟아붓겠다는 복안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오는 3월 용인에 첫 반도체 생산공장(Fab, 팹)을 착공한다. 이번 착공은 용인 클러스터 조성 계획이 발표된 지 약 5년 만이

최태원 SK 회장, 낸드 자회사 美 솔리다임 이사회 의장 맡는다

재계

최태원 SK 회장, 낸드 자회사 美 솔리다임 이사회 의장 맡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하이닉스의 미국 낸드플래시 메모리 자회사 솔리다임에서 이사회 의장을 맡은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확대로 낸드 수요가 커지는 가운데 최전선에서 그룹의 성장을 이끌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14일 SK㈜의 3분기 분기보고서를 보면 최태원 회장은 솔리다임 이사회 의장을 겸하고 있다. 지난 9월 이사회를 통해 솔리다임 이사진에 합류했고, 의장에 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솔리다임은 SK하이닉스

AI 수요에 낸드 성장···3분기도 메모리 '효자' 노릇 톡톡

전기·전자

AI 수요에 낸드 성장···3분기도 메모리 '효자' 노릇 톡톡

인공지능(AI) 시장의 성장으로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함께 급부상한 낸드플래시가 이번 3분기에도 메모리 업체들의 실적을 견인했을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연합뉴스와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 세계 eSSD 매출 규모는 57억3840만달러(약 7조6000억원)로 전 분기보다 52.7% 늘었다. 가격 또한 25% 이상 상승하면서 공급 업체들의 매출도 50% 이상 늘었다. 트렌드포스는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플랫폼의 배포 증가와

"HBM 대박"···SK하이닉스, 올 1분기 D램 매출 사상최고치 육박

전기·전자

[사업보고서 톺아보기]"HBM 대박"···SK하이닉스, 올 1분기 D램 매출 사상최고치 육박

SK하이닉스의 올해 1분기 D램(DRAM) 매출이 역대 1분기 사상 최고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열풍이 불러온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데 따른 것이라는 풀이다. SK하이닉스가 HBM 시장에서 선봉장에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낸드 업황도 개선됨에 따라 낸드플래시(NAND Flash) 매출은 역대 1분기 중 가장 높은 매출을 찍었다. 23일 금융감독원에 공시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S

하반기 AI 맥 출격, 낸드도 '기지개' 편다

전기·전자

하반기 AI 맥 출격, 낸드도 '기지개' 편다

D램 업황이 반등하면서 반도체 업계가 회복세로 돌아섰다. 1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와 더불어 SK하이닉스까지 기대 이상의 호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특히 스마트폰에 이어 PC까지 AI(인공지능) 기능이 탑재되면서 데이터 저장에 필요한 낸드플래시도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12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은 차세대 프로세서 M4를 탑재한 새로운 맥(Mac·PC 및 노트북) 라인업을 올해 말부터 출시할 예정이다. 신제품은 기

HBM 올라탄 SK하이닉스, 솔리다임 흑자도 가능할까

전기·전자

HBM 올라탄 SK하이닉스, 솔리다임 흑자도 가능할까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이 낸드 사업부의 올해 전략을 수익성 중심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10조원 이상을 쏟아부어 사들인 솔리다임의 경우 실적 개선을 기대했다. D램은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앞세워 올해 실적 개선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아픈 손가락인 낸드 사업도 흑자전환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8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곽노정 사장은 전날 경기도 이천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최근 빅테크 기업 중심으로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