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업·방산
2년 표류 KDDX, 또 해 넘기나···12월이 분수령
KDDX 구축함 사업자 선정이 2년째 결론 나지 못하며 방위사업청의 수의계약 추진이 연이어 무산됐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선도함 건조 주도권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정치·산업계 이해관계가 얽혀 12월 재상정에도 결과가 불투명하다. 사업 지연 시 해군 전력화와 예산 편성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총 273,066건 검색]
상세검색
중공업·방산
2년 표류 KDDX, 또 해 넘기나···12월이 분수령
KDDX 구축함 사업자 선정이 2년째 결론 나지 못하며 방위사업청의 수의계약 추진이 연이어 무산됐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선도함 건조 주도권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정치·산업계 이해관계가 얽혀 12월 재상정에도 결과가 불투명하다. 사업 지연 시 해군 전력화와 예산 편성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증권일반
코스닥 상장사, 올 3분기 누적 순이익 5조3457억원···전년比 16.6%↑
코스닥 상장사들의 2025년 3분기 누적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6.59% 증가한 5조3457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매출액도 각각 9.74%, 6.71% 늘었으며, 코스닥150과 글로벌 세그먼트 기업의 순이익이 크게 급증했다. 업종별로는 일반서비스, 화학 분야가 상승세를 나타냈고, 흑자 기업 비중은 줄었으나 전체 실적은 개선됐다.
증권일반
코스피 상장사, 3분기 순이익 60% 급증···수익성 개선 뚜렷
2025년 3분기 기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은 전분기 대비 크게 개선된 실적을 기록했다. 총 728개사의 순이익이 60.89% 증가했고, 매출과 영업이익도 동반 성장했다. 삼성전자 제외 시에도 수익성 개선세가 뚜렷했으며, 적자기업 수는 감소하고 전기·전자, 전기·가스 업종 등이 실적 회복을 주도했다.
패션·뷰티
미스토홀딩스, 패션부문 구조 전환 기로···중화권 의존도 확대 우려
미스토홀딩스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하며 실적 개선을 이뤘으나, 패션부문은 북미 사업 축소와 비용 절감 덕분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반면, 중화권 시장 의존도와 OEM 생산 구조에 따른 수익성·품질 변동 리스크가 장기 성장에 걸림돌로 지적된다.
인사/부음
[인사]CJ그룹
◇신임 임원
일반
서울 휘발유 가격, 9개월 만에 1800원대 '돌파'
서울 휘발유 가격이 9개월 만에 리터당 1,800원을 돌파했다. 전국 평균 휘발유와 경유 가격도 동반 상승 중이며, 국제유가와 환율 상승, 그리고 이달부터 유류세 인하 폭 축소가 주된 원인이다. 당분간 국내 유가의 추가 상승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종목
[마감시황]코스피, 미국발 금리 불확실성·AI 거품론에 3%대 급락···3953.62 마감
코스피와 코스닥이 AI 버블 논란과 기술주 투자심리 약화, 외국인 및 기관의 대규모 매도세로 동반 하락했다. 삼성전자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모두 내렸고, 코스피는 3% 넘게 하락해 3953.62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도 1465.3원으로 상승 마감했다.
통신
KT 수장 공모에 33인 응모···본격 심사 착수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대표이사 후보 공개 모집 및 추천을 통해 총 33명의 후보를 선정했다.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인선자문단이 객관적 서류 평가를 진행하며, 이를 토대로 서류 및 면접 심사를 거쳐 올해 안에 최종 1인을 추천할 예정이다. 최종 선임은 2026년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뤄진다.
중공업·방산
HD건설기계 출범 한 달 앞···신흥시장 실적이 글로벌 확장의 발판 된다
'HD건설기계' 출범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HD현대의 건설기계 사업 부문이 해외 신흥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중남미·아프리카·중동에서 판매가 빠르게 증가하며 출범 후 글로벌 확장 전략에도 탄력이 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와 HD현대건설기계의 합병 법인 'HD건설기계'는 내년 1월 1일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HD현대는 지난 7월 두 회사의 합병을 의결한 뒤 9월 임시 주주총회에서 최종
전기·전자
"MLCC 없으면 AI 서버 못 만든다"···삼성전기, 글로벌 주문 쇄도
삼성전기가 AI 서버와 전장 산업의 MLCC 수요 급증에 힘입어 3분기 공장 가동률 99%를 기록했다. 올해 누적 매출이 이미 지난해 연간 실적을 넘겼으며, 고부가 제품 중심의 구조 전환으로 수익성 강화에 성공했다. 전장 시장 확대와 글로벌 고객사 다변화, 그리고 장덕현 사장의 리더십이 실적 개선을 견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