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권·자산운용사
한화투자증권, 올 2분기 순이익 293억원···전년比 흑자 전환
한화투자증권이 2024년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377억원, 당기순이익 29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상반기 매출액은 1조7266억원, 영업이익 848억원, 순이익 664억원 등 실적 전반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 디지털 금융 서비스와 글로벌 시장 확장이 실적을 견인했다.
[총 1,273건 검색]
상세검색
증권·자산운용사
한화투자증권, 올 2분기 순이익 293억원···전년比 흑자 전환
한화투자증권이 2024년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377억원, 당기순이익 29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상반기 매출액은 1조7266억원, 영업이익 848억원, 순이익 664억원 등 실적 전반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 디지털 금융 서비스와 글로벌 시장 확장이 실적을 견인했다.
게임
넥슨, 2분기 영업익 3646억원···'메이플·던파' IP 호조
넥슨이 2분기 주력 게임 '메이플스토리', '던전앤파이터'의 흥행과 글로벌 실적 성장에 힘입어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주요 게임 국내외 매출이 크게 늘었고, 하반기 신작 출시 및 IP 확장으로 성장세 지속에 나설 계획이다.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엔씨소프트, 2Q 호실적에도 주가 하락세···'아이온2' 기대·우려 교차
엔씨소프트가 올해 2분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했으나 주가는 하락세를 보였다. 리니지 시리즈의 모바일 부문 성장과 신작 '아이온2' 출시 기대감에 증권가에서는 목표주가를 상향했지만, 서구권 흥행 가능성에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일부 증권사는 인력 효율화 등 비용 부담을 전망했다.
은행
자영업자 대출 늘린 케이뱅크, 2분기 사상 최대 실적 경신
케이뱅크는 올해 상반기 842억원, 2분기 68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개인사업자 대출 확대와 신규 금융상품, 플랫폼 광고 수익 등이 성장에 큰 역할을 했으며, 비이자이익 증가와 자산 건전성 개선도 눈에 띈다. 중저신용대출 비중 확대와 신용평가모형 고도화로 리스크 관리도 강화했다.
전기·전자
'감다살'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도 반격 시작?
암흑기를 걷던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이 부활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중에서도 수조 원대 적자로 가장 골칫거리로 여겨졌던 파운드리가 꿈틀대고 있다. 연이은 대형 고객사 수주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가 비메모리에 이어 메모리에서도 왕좌를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에서 반도체 부문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올해 2분기 매출액 27조 9000억원, 영업이익 4000억원을 거뒀다. 이는 1년 전과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클래시스, 6분기 연속 최대 매출에 증권가 일제히 목표가 상향
클래시스가 6개 분기 연속 최고 실적을 기록하자 증권가에서 목표주가를 일제히 상향 조정했다. 유럽‧미국 등 해외시장 수출 증가와 슈링크, 볼뉴머 등 주력 제품의 매출 지속 성장, 내수와 소모품 매출 확대가 실적을 견인했다. 증권사는 핵심 제품의 수출 성장세와 유럽 진출 모멘텀을 근거로 긍정적 투자의견을 제시했다.
채널
이마트, 2분기 영업익 216억원···흑자 전환
이마트가 2분기 본업 경쟁력 강화와 창고형 매장 등의 성장에 힘입어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통합 매입과 판관비 절감, 점포 리뉴얼 등 구조 혁신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반면, SSG닷컴·G마켓 등 온라인 사업부는 적자 확대가 이어졌다.
게임
엔씨소프트, 2분기 영업이익 151억원···전년 比 71%↑
엔씨소프트는 2025년 2분기 매출 3824억원, 영업이익 151억원을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큰 폭으로 성장했다. 순손실은 외화 손익 감소 영향으로 360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 게임과 해외, 로열티 매출이 전체 성장세를 이끌었으며, 신작 아이온2와 모바일 캐주얼 게임 등 신성장 동력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증권·자산운용사
'케데헌' 인기에 '엔터ETF' 수익률 쑥'···2차전지도 상위권
국내 ETF 시장에서 엔터테인먼트 ETF들이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을 바탕으로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TIMEFOLIO K컬처액티브'와 'ACE KPOP포커스' ETF 등이 주간 수익률 상위를 차지했다. 이차전지 ETF 역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시장 순자산 증가를 견인했다.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한국콜마, 영업 외 손실 증가에 주목···"HK이노엔이 발목"
한국콜마가 올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성장세를 보였으나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HK이노엔 음료 리콜 이슈, 주요 고객사 매출 감소, 인디 브랜드 주문 지연 등으로 영업이익률이 소폭 하락하고 영업 외 손실이 확대됐다. 증권가는 K-뷰티 성장세와 CAPA 증설 등 긍정 요인을 들어 하반기엔 실적 개선을 전망하며 각기 다른 목표주가를 제시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