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증권 오경석 두나무 대표,국감서 제재심 경위 묻는다

증권 블록체인

오경석 두나무 대표,국감서 제재심 경위 묻는다

등록 2025.09.29 18:09

수정 2025.09.29 18:41

한종욱

  기자

공유

네이버파이낸셜과의 주식 교환·합병 이슈까지 거론될 듯고객 실명확인 미비·해외 미신고 거래소 문제 지적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 오프닝 세션에서 '두나무 비전 및 전략'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 오프닝 세션에서 '두나무 비전 및 전략'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디지털자산(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오경석 대표가 국정감사 증인 명단에 올랐다.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두나무는 가상자산 거래소 중 유일하게 국감 증인 목록에 포함됐다. 특히 업비트는 올해 국정감사 증인 채택 대상 중 가장 많은 질의 내용이 담겨 있다.

업비트가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 행정소송 ▲금융위 자금세탁방지의무위반 적발 ▲졸속 상장 및 상장폐지 등 문제 ▲북한 라자루스 등 국제 해커 연루 확인으로 제시됐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2월, 미신고 가상자산사업자와 거래금지 의무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두나무에 대해 신규 고객의 가상자산 이전을 3개월간 제한하고, 당시 이석우 대표이사에게 문책경고를 내리는 한편 준법감시인과 보고책임자를 해임하도록 조치했다.

또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지난해 8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한 현장검사에서 두나무가 고객 실명확인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사례가 3만4000여 건이며, 신고되지 않은 해외 가상자산거래소 19곳과 총 4만4000여 건의 거래를 지원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두나무는 금융위의 처분 직후인 2월 27일 서울행정법원에 영업 일부 정지 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하고 곧바로 집행정지 신청도 함께 냈다. 이후 지난 3월 법원이 집행정지를 인용하면서 해당 제재는 현재 효력이 정지된 상태다.

이 밖에도 네이버파이낸셜과의 포괄적 주식교환 추진 관련 질의도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당국 내에서는 네이버파이낸셜이 네이버페이를 운영하는 핀테크 기업이자 전자금융업자임을 근거로 이 회사를 전통 금융권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 관계자는 "그간 규제 리스크를 미뤄온 업비트가 당국의 눈초리를 제대로 받은 셈"이라며 "이번 국정감사에서 증인 출석 가능성은 불확실하지만, 네이버와의 합병을 위해서라도 정면돌파해야 할 상황이 올 수 있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