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가상자산 결합 '빅딜'로 생태계 공룡 거듭간편결제와 가상자산 거래소 동시 운영 시너지스테이블코인 결제부터 유통까지 생태계 장악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지배구조를 단일화하는 방식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빅딜'로 두나무가 네이버파이낸셜의 100% 자회사로 네이버그룹에 편입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네이버파이낸셜은 최근 두나무로부터 증권플러스 비상장 지분 70%를 약 686억 원에 인수해 직접 투자중개업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두 기업은 최근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 업무협약(MOU)도 체결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양사 협력이 가속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양사는 현재 합병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사실확인 중"이라는 입장을 내비쳤으나 시장에서는 이번 포괄적 주식교환이 기정사실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
디지털자산업계는 이번 '빅딜'이 업계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있다. 네이버와 두나무는 원화기반 스테이블코인을 공동 추진해왔다. 이 때문에 네이버파이낸셜이 가진 결제인프라 생태계에 두나무의 디지털자산 유통 역량을 결합시키면 사실상 국내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를 주도할 가능성도 높다.
기업합병이 성사되면 네이버페이로서도 스테이블 코인 발행으로 확보한 원화 예치금으로 투자 자산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스테이블코인을 담보로 대출 같은 금융 상품을 운용한다면 또 다른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는게 업계의 시각이다.
또 네이버파이낸셜이 운용 중인 네이버페이 사용자가 수천만명에 달한다는 점 때문에 디지털자산 투자가 더 쉽게 운용될 가능성도 다온다. 일각에서는 네이버페이 앱 내에서 디지털자산 구매와 관리 기능을 만들고 이를 통합할 가능성도 제기한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 디지털자산이 대중은 물론 일상생활 깊숙이 파고드는 환경이 될 수 있다는 것도 업계가 내리는 분석이다.
디지털자산 거래시장에서도 '체급'이 완전히 달라진다. 두나무가 운영 중인 업비트는 국내 1위, 세계에서는 6위에 해당하는 디지털자산 거래소다. 현재 글로벌 거래소 순위는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크라켄, 바이비트, OKX, 업비트, 빗썸 순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파이낸셜과 합병하게 된다면 업비트는 단숨에 3위급으로 뛰어오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기업합병 이후에는 업계 지각변동을 넘어 '위협적 존재'가 될 수 있을 것이란 시각도 나온다. 기존 네이버파이낸셜이 '페이'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상황에 디지털자산까지 통합한다면, 결제 시장을 넘어 은행, 증권사 등을 위협하는 가장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디지털자산업계 관계자는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생산, 유통, 거래, 결제, 저축, 투자까지 이뤄지는 환경이 되는건데, 이런 생태계는 전세계에서도 처음일 것"이라며 "한국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위협적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한종욱 기자
onebel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