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 회수와 대주주 지분 감소부산 이전과 현 정부 정책 변수 작용매각 구조 단순화 필요성 대두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HMM은 이날부터 다음달 12일까지 자사주를 공개매수한다. 목표 매입 물량은 8180만1526주(지분율 기준 7.98%)다. 공개매수에 응모한 수량이 목표 물량보다 적더라도 전량 매수한다. 목표 물량보다 응모 수량이 많을 경우 안분비례해 매수하기로 했다.
HMM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지분율 36.0%)과 2대 주주인 해양진흥공사(35.7%)가 공개매수에 참여해 HMM에 지분을 넘기고, 지분을 받은 HMM은 다음 달 24일 모두 소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HMM이 이번 자사주 매입에 투입하는 금액은 최대 2조1432억원이다. 앞서 HMM은 올 초 1년 내 2조5000억원 이상의 주주환원을 실시하겠다는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중 5286억원을 3월에 배당했고, 남은 2조여원을 이번 자사주 매입에 사용한다.
HMM이 자사주 소각에 나서는 것은 지난 2016년 유동성 위기로 산업은행 등 채권단 관리체제에 돌입한 이후 처음이다. 표면적으로 이번 자사주 매입은 산업은행이 공들여왔던 공적 자금을 회수한다는 측면에서 정해진 수순으로 보인다.
반면 일각에선 '민영화의 신호탄'이 될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HMM 1·2대 주주가 공개매수에 참여하는 만큼 소각 후 대주주의 보유주식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향후 HMM 인수 희망자가 매입해야 할 주식 물량이 감소해 거래 부담이 완화되고, 매각 협상 여건도 개선돼 민영화에 도움 될 것이란 해석이다.
HMM의 자사주 소각 이후에도 매각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올해 들어 더욱 불어난 HMM의 몸집 탓이다. HMM은 지난달 15일 주가가 2만5000원을 기록하며 고점을 갈아 치웠다. 최근 다소 하락했으나 여전히 매수에는 10조원이 넘는 돈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도 지난 5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2023년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매각을 추진할 당시보다 상황이 어려워졌다"며 "지불 능력을 갖춘 인수 기업이 나타나기 쉽지 않고, HMM의 덩치도 더욱 커졌다"고 했다.
이재명 정부가 HMM의 부산 이전을 추진하고 있어 정부가 당분간 HMM에 대한 구속력을 쥐려 할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도 있다. 실제 해수부는 HMM뿐 아니라 해운사의 부산 이전을 장려하고 있다.
업계는 HMM의 지분을 점진적으로 줄이며 전략적 투자자를 유치하는 방식으로 매각 구조를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해수부도 HMM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며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 등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의 지배구조는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의 과점 상태로 무리한 민영화가 자칫 HMM의 재무 안정성을 이어가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며 "지속가능한 경영 안정성 구축을 위한 지배구조가 필요하다"고 했다.

뉴스웨이 신지훈 기자
gamja@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