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 서울 32℃

  • 인천 31℃

  • 백령 27℃

  • 춘천 33℃

  • 강릉 32℃

  • 청주 34℃

  • 수원 31℃

  • 안동 33℃

  • 울릉도 30℃

  • 독도 30℃

  • 대전 33℃

  • 전주 33℃

  • 광주 31℃

  • 목포 30℃

  • 여수 32℃

  • 대구 33℃

  • 울산 30℃

  • 창원 31℃

  • 부산 30℃

  • 제주 30℃

산업 관세 유지에 한숨 깊어진 철강업계...'고부가 제품' 전략 강화

산업 중공업·방산

관세 유지에 한숨 깊어진 철강업계...'고부가 제품' 전략 강화

등록 2025.08.05 14:52

황예인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미국이 한국산 철강 제품에 50% 관세율을 유지하기로 결정

정부와 업계는 통상 대응과 기술력 강화에 집중 중

관세 인하 기대와 달리 고율 관세 부담 지속

숫자 읽기

한국 철강 제품 수출액 올해 상반기 5.9% 감소

2018년부터 적용된 263만톤 무관세 쿼터 폐지

25% 상호관세는 15%로 인하됐으나 50% 관세는 유지

현재 상황은

정부, 'K-스틸법' 공동 발의 등 대책 마련 박차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 설치 추진

중국산 철강 반덤핑, 수소환원제철 기술 지원 등 산업 지원책 확대

맥락 읽기

일본·EU도 50% 관세 적용받지만, 현지 투자·쿼터제 등으로 부담 완화

한국은 추가 협상 여지 남아 있으나 불리한 위치

기술력·친환경 제품 개발로 관세 장벽 돌파 시도

주목해야 할 것

미국 시장 환경 규제 강화로 친환경 기술력이 경쟁력 핵심으로 부상

포스코, 현대제철 등 친환경 생산체계 구축 가속화

관세 부담 완화와 추가 협상 방안 모색 지속

한미 협상 타결···'철강'은 50% 관세 그대로정부, 철강 지원 움직임 분주···대응 수위 ↑업계 "고부가가치 제품 전략 강화할 전망"

그래픽=홍연택 기자그래픽=홍연택 기자

미국 정부가 한국산 철강 제품 관세율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정부와 업계는 통상 대응에 더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정부의 철강 기술력 지원에 힘입어 국내 철강사들은 고부가가치 제품을 확장해 미국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구상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한국 정부는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그 결과 미국은 이달부터 부과하기로 한 25%의 상호관세를 15%로 낮췄다. 앞서 무역협상을 체결한 일본과 EU(유럽연합)의 관세율과 동일한 수준이다.

하지만 철강업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이번 협상에서 50%의 철강 관세율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다. 올 상반기 한국의 철강 제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5.9% 줄어드는 등 벌써부터 관세 정책에 따른 피해가 현실화된 상황에서 업계는 이번 협상을 통해 관세 인하 가능성에 기대를 걸었지만 결국 고율 관세를 그대로 떠안게 됐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는 대책 마련에 더욱 분주해졌다. 전날 여야 국회의원 106명은 'K-스틸법'(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 철강 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을 공동 발의했다.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를 설치해 5년 단위의 기본 계획, 매년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골자다.

올해 들어 정부는 중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반덤핑 판정, 수소환원제철 실증기술 지원 등 철강 산업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다만 결과적으로 한미 협상에서 철강 품목 관세가 유지됐고 국내 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될 위기에 놓이자 대응 수위를 본격적으로 끌어올리려는 모습이다.

민동준 연세대학교 명예특임교수는 "한국은 2018부터 적용받았던 연간 263만톤(t) 규모의 수출 무관세 쿼터가 폐지되고 50%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결국 타 경쟁국보다 훨씬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기업 차원에선 고부가가치를 중심으로 한 '제품 품질'을 승부수로 둘 전망이다. 이번 50% 관세율은 일본·EU에도 동일 적용됐지만 일본은 미국 현지 생산사설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EU는 미국과 쿼터제 도입에 합의한 만큼 관세 부담 측면에서 한국이 더 불리할 거란 시각이 우세하다. 이 때문에 한국은 차별화된 기술력을 무기로 관세 장벽을 돌파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는 친환경 중심의 제품 개발에 가속페달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시장에서 환경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 기술력이 향후 생존을 좌우할 변수로 떠오르고 있어서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포스코가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HyREX)' 개발에 한창이며 현대제철도 '전기로-고로 복합프로세스'를 통한 친환경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관세 부과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어 향후에도 경영 환경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관세 협상이 완전히 마무리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추가 협상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관세 부담 완화를 위해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등 기존에 해왔던 노력들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