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연봉의 200% 수준, 고성과자는 연봉의 300% 수준1차 성과급 포함 시 인당 평균 연봉 500% 이상 보상 제공
내부 갈등이 깊어진 상황에서 이 같은 대규모 보상이 향후 노사 협상에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이번 지급은 던파모바일 중국 서비스 론칭 이후 프로젝트 기여도에 따라 총 4회에 걸쳐 진행되는 GI 중 2차에 해당한다. 회사는 31일 내부 온라인 설명회를 통해 이 같은 계획을 구성원에 공유했다.
이에 따르면 던파모바일 개발 조직 소속 약 400여명의 구성원들은 평균 연봉의 200% 수준의 인센티브를 지급받는다. 인센티브 산정 기간 중 우수 성과자(A등급 이상)의 경우 평균 연봉의 300% 이상을 수령하게 되며, 총 지급액은 약 60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네오플은 지난 2월에도 던파모바일의 중국 흥행에 대한 보상으로 1차 GI 1000억원 이상을 지급한 바 있다. 당시 전체 개발조직의 절반 이상이 연봉의 300% 안팎을 성과급으로 받았다. 1·2차 GI를 합산하면 개발조직 구성원 1인당 평균 연봉의 500% 이상, 즉 월급 기준 6000%에 해당하는 보상이 이뤄진 셈이다.
네오플은 GI 외에도 KI(KPI Incentive) 등 다양한 성과급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GI는 신규 프로젝트 성공 시 수익의 일정 비율을 해당 프로젝트 참여자에게 지급하는 구조이며, KI는 GI 대상이 아닌 전사 조직에도 영업이익 일부를 기반으로 성과급을 나누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네오플 구성원은 GI 또는 KI 중 하나를 통해 회사 이익을 공유받는다.
이 같은 보상 시스템이 장기 파업 사태를 촉발한 노조의 '영업이익 4% PS(Profit Sharing) 제도' 요구와 본질적으로 중복된다는 시각도 있다. 회사는 이미 성과에 따른 환원을 구조화해 운영 중이라는 입장이다.
네오플 노사는 올해 임단협 결렬 이후 처음으로 다음달 1일 공식 교섭을 재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교섭은 유저 불편 감소와 게임 서비스 안정화를 위해 회사 공식 요청으로 재개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노조는 교섭 재개일인 8월 1일부터 주 5일 전면 파업 전환을 예고했다. 현재 노조 활동에 대한 유저들의 부정적 여론을 의식하지 않는 결정으로 인해 이번 교섭이 원활하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현재 네오플은 파업 여파로 신규 인력 충원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낮은 퇴사율로 인해 퇴직에 따른 최소한의 충원만 가능한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노조가 요구하는 '높은 근무 강도' 해소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개발 지연과 서비스 안정성 저하에 대한 유저들의 우려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뉴스웨이 임재덕 기자
Limjd8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