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VDC 변압기 공장' 기공식 열고 비전 제시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 적극 동참하고 기술 국산화도 선도해 'K-전력' 위상 떨칠 것
30일 효성중공업은 이날 경남 창원공장에서 이상운 부회장과 정치권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HVDC 변압기 공장 신축 기공식을 열고 이 같은 비전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효성이 2540억원을 들여 창원공장 부지(약 2만9600㎡)에 조성(2027년 7월 완공 예정)하는 생산시설은 국내 최대 규모의 전압형 HVDC 변압기 전용공장이다. 2027년 7월 완공을 목표로 구축된다. 효성중공업은 이와 별도로 '대용량 전압형 컨버터 시스템' 제작시설을 증축하고 연구개발(R&D)을 확대하는 등 관련 분야에 2년간 총 33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처럼 조현준 회장이 HVDC 사업에 공을 들이는 것은 전세계적 움직임과 무관치 않다. 탄소중립 정책과 재생에너지 확산에 전력 인프라 전환, 장거리 고효율 송전 등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서다. 조 회장은 이러한 분위기에 주목해 지난 몇 년간 효성중공업에 힘을 실었다. 2020년 인수한 멤피스 공장의 생산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1억5000만달러 이상을 들인 게 대표적이다. 올해는 사내이사로서 이사회에 합류해 경영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HVDC는 장거리 송전에 최적화된 기술이다. HVAC(초고압교류송전)와 비교해 에너지 손실이 적고 효율이 높으며 날씨에 따라 출력이 유동적인 재생에너지원과의 연계가 쉽다는 장점을 지닌다. 가령 바다 위에서 생산되는 해상풍력 전력을 육지로 끌어오려면 HVDC 기술이 필요하다.
게다가 HVDC 시장은 소수의 해외 전력기기 업체가 독점하다시피 하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역시 관련 기술을 외국에 의존해왔으나, 효성중공업이 2017년부터 1000억원을 들여 독자기술을 확보하면서 지난해 국산화에 성공했다.
아울러 효성중공업의 HVDC는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사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기술로 지목된다. 새 정부는 2030년까지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를 구축해 호남지역 재생에너지 단지와 수도권을 전력망으로 연결한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국내 기술을 활용해야 고장 시 신속하게 대처하는 등 전력망 유지보수가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향후 효성중공업은 2GW(2000 MW)급 대용량 전압형 HVDC를 개발하는 등 소수의 해외 기업이 주도하는 시장에서 '국산 기술'로 입지를 다진다. 동시에 시스템 설계부터 기자재(컨버터·제어기·변압기 등) 생산까지 가능한 국내 유일의 HVDC 토탈 솔루션 제공사로 거듭난다는 복안이다.
특히 신축 HVDC 공장이 본격 가동되는 2028년엔 효성중공업 창원공장의 전체 변압기 생산능력이 지금보다 약 20% 증가한다. 전세계적으로 폭증하는 교류 전력시장 수요와 미래 성장성이 높은 직류 전력시장 수요를 모두 만족시킬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이상운 부회장은 기공식 중 "해외업체가 선점한 전압형 HVDC 기술은 미래 송전망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고,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 기술 국산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효성중공업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에너지 솔루션 리더로서 HVDC 기술 국산화를 선도해 'K-전력'의 위상을 떨칠 역량과 경험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드마켓은 글로벌 HVDC 시장 규모가 2024년 기준 약 122억달러(약 16조 8000억원)에서 연평균 8.1% 성장해 2034년엔 264억달러(약 37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