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 서울 26℃

  • 인천 25℃

  • 백령 23℃

  • 춘천 23℃

  • 강릉 26℃

  • 청주 25℃

  • 수원 24℃

  • 안동 25℃

  • 울릉도 25℃

  • 독도 25℃

  • 대전 25℃

  • 전주 25℃

  • 광주 24℃

  • 목포 24℃

  • 여수 25℃

  • 대구 26℃

  • 울산 23℃

  • 창원 25℃

  • 부산 23℃

  • 제주 24℃

IT LG CNS, 2분기 영업익 1408억원···전년比 2.3% ↑

IT IT일반

LG CNS, 2분기 영업익 1408억원···전년比 2.3% ↑

등록 2025.07.23 13:32

김세현

  기자

공유

AI·클라우드 매출 8.2% 증가, 전체 실적 견인스마트팩토리·디지털 비즈니스 서비스 실적 상승

LG CNS CI. 사진=LG CNS 제공LG CNS CI. 사진=LG CNS 제공

AX전문기업 LG CNS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조4602억원, 영업이익 140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0.7%, 영업이익은 2.3% 성장했다고 23일 밝혔다.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6.0% 증가한 2조6715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9.2% 증가한 2197억원을 달성했다.

LG CNS는 주력 성장동력인 AI와 클라우드 분야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며, 2분기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AI·클라우드 사업의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8.2% 성장한 8724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60%에 달한다.

AI 분야에서는 주요 금융 및 공공 AX 프로젝트를 석권해 시장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 LG CNS는 NH농협은행, 미래에셋생명, 미래에셋증권, 신한은행, 신한카드, 우리은행, KB금융그룹 등 주요 금융 기업의 AX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또한 올해 공공기관이 발주한 AI 사업 중 가장 큰 규모의 경기도교육청 AI 플랫폼 사업과 외교부 AI 플랫폼 사업을 수주했다. 민감 정보를 다루는 금융, 공공 영역에서 LG CNS는 국가대표 소버린 AI 모델 '엑사원(EXAONE)'과의 긴밀한 연합, 강력한 보안 기반의 에이전틱(Agentic) AI 기술력을 갖춘 코히어와 공동 개발한 AI 모델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강화했다.

클라우드 분야에서는 국내외 데이터센터 사업 매출이 본격 가시화되면서 실적에 크게 기여했다. LG CNS는 데이터센터 설계·구축·운영(DBO) 사업자로서 AI 데이터센터 사업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스마트엔지니어링 분야 매출은 2667억원을 기록했다. 스마트팩토리 영역은 오픈 시장에서 고객을 다변화해 전년동기 대비 7배 이상(상반기 기준)의 수주 증가세를 기록했으며, ▲방산(스마트팩토리 사업) ▲정유(디지털트윈 사업) ▲공공(강원 곤충 스마트팩토리팜 사업) 등 신규 산업 분야 진출을 통해 사업 외연을 넓혔다.

디지털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 매출은 3210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에 이어 증권·보험 중심의 대형 차세대 사업을 지속 수주했다. 외교부, 법원행정처, 공수처 등 공공 영역의 다양한 시스템 통합(SI, System Integration), 시스템 운영(SM, System Management) 사업 수주·재계약 및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사업 등을 수행했다.

LG CNS는 하반기 '에이전틱 AI' 및 '피지컬(Physical) AI' 시장에서의 가시적인 성과 창출을 목표로 사업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LG AI연구원의 엑사원, 코히어와 공동 개발한 초대형·경량형 LLM(Large Language Model) 등을 활용한 금융, 공공 AX사업을 확대하고, AI 데이터센터 사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