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12월 수출입물가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전월 대비 2.4% 동반 상승

금융 금융일반

12월 수출입물가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전월 대비 2.4% 동반 상승

등록 2025.01.15 06:00

이수정

  기자

공유

한은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 미칠수도"

한국은행은 15일 '2024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발표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한국은행은 15일 '2024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발표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12월 수출입물가는 원달러 환율 급상승 영향으로 전월 대비 각각 2.4%씩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15일 '2024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12월 수출입물가는 원달러 평균 환율이 1434.42원으로 전월(1393.38원) 대비 2.9% 급등한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우선 수출물가(원화기준)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가운데 화학제품 등이 오르며 전월대비 2.4% 상승했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10.7% 올랐다. 특히 농림수산품이 2.7% 상승해 큰 폭으로 올랐고, 공산품도 화학제품, 석탄및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2.4% 상승했다.

동 기간 수입물가도 국제유가 및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전월대비 2.4% 올랐다. 원재료는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3.0%, 중간재는 화학제품, 1차금속제품 등이 오르며 전월대비 2.2%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전월대비 2.1% 올랐다.

한국은행은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원달러 환율 상승이 계속되는 가운데 국제 유가도 올랐기 때문에, 1월 수출입물가는 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경제통계국 이문희 물가통계팀장은 "1월에도 국제유가와 환율이 올라 수출입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국내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원달러 환율 상승이 수입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수입물가는 수입소비재 가격 외에도 수입재 조달 비용을 높이기 때문에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다만 기업경영 여건과 가격 정책에 따라 소비자물가에 전가되는 시기는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