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에코프로 이동채, 양극재 사업 들고 '복귀'···"中과 협력해 위기 타개"

산업 에너지·화학

에코프로 이동채, 양극재 사업 들고 '복귀'···"中과 협력해 위기 타개"

등록 2024.09.09 12:12

전소연

  기자

공유

그래픽=홍연택 기자그래픽=홍연택 기자

에코프로비엠과 중국 전구체 제조사 GEM이 인도네시아에 양극소재 밸류체인을 구축하겠다고 나선 가운데, 이동채 에코프로 전 회장이 양극소재 사업을 들고 경영 일선에 복귀했다.

이 전 회장은 경영복귀 후 직원들과 간담회를 통해 "배터리 시장이 왜 이렇게 됐을까, 우리의 앞길은 무엇인가 생각해 봤는데 앞길이 보이지 않았다"라며 "그래서 세상을 뒤엎어 보자고 결심했다. 지금처럼 하다가는 미래가 없다"고 전했다.

이 회장은 국내 배터리 업계의 주력 제품인 삼원계가 중국의 대표 제품인 LFP(리튬·인산·철)에 밀려 시장이 축소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2~3년 전만 해도 전기차의 모든 배터리는 삼원계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해 너도 나도 증설 경쟁에 나서 과잉 투자를 해왔다"고 진단했다.

이 전 회장은 과잉 투자와 함께 배터리 산업 종사자들이 제조업 본질 경쟁력을 무시한 것이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을 초래한 큰 원인이라고 평가했다. 기술 및 공정 개발을 통한 혁신, 경영 효율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미흡해 산업 전체가 캐즘에 빠졌다는 것이다.

이 전 회장은 "캐즘이 상당 기간 지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에코프로도 3, 4년 뒤 존망을 걱정해야 할 위기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이 같은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GEM과 통합 얼라이언스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양극재는 크게 광산, 제련, 전구체, 양극소재 등 4개 산업으로 구성돼 있는데, 이 전 회장은 산업 군을 하나의 산업으로 만들자고 주문했다. 에코프로는 이미 포항에서 클로즈드 루프 시스템을 구축해 가동 중이지만, 광물과 제련 공정이 없어 사업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광물을 확보해서 제련을 하기에는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반면 GEM은 인도네시아에 15만 톤의 니켈을 생산할 수 있는 제련소를 운영하고 있다. GEM은 인도네시아에 QMB, 그린에코, 메이밍, ESG(환경·사회·지배구조)등 4개의 제련 법인을 운영 중이고 에코프로는 이곳에 이미 3억 달러가량을 투자하고 있다.

삼원계 배터리에서 니켈이 차지하는 원가 비중은 약 40% 이상이다. GEM과의 얼라이언스 구축은 니켈을 저렴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매력적인 카드다.

에코프로는 전구체와 양극소재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니켈 원소재를 수입해서 진행하는 황산화 공정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게 업계 평가다. 에코프로비엠은 하이니켈 양극재 부문 글로벌 1위 업체다.

에코프로와 GEM이 양극소재 밸류체인에서 서로 강점을 가진 분야를 통합한다는 점에서 얼라이언스가 미칠 파괴력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전 회장은 직원들에게 "산업의 융합만이 우리가 가야 할 길"이라며 "GEM과의 얼라이언스는 여러분이 상상할 수 없는 경쟁력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어느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경쟁력을 갖춘 산업 대혁신을 이루게 된다"며 "삼원계 배터리가 몇 년 내 새로운 형태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부연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