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김소영 부위원장 "은행, 기업금융지원방안 조기 현실화 위해 적극 나서달라"

금융 금융일반

김소영 부위원장 "은행, 기업금융지원방안 조기 현실화 위해 적극 나서달라"

등록 2024.03.06 10:00

이수정

  기자

공유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중견·중소기업 지원 정책인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의 조속한 현실화를 위해 은행권도 적극 협조해줄 것을 요구했다. 김 부위원장은 특히 중견기업특화펀드는 5대 은행이 자발적으로 출자해 만들어진 의미있는 펀드인 만큼 관련 프로그램을 조기 출시하는 등 협조를 부탁한다고 전했다.

김 부위원장은 6일 오전 관련 부처와 개최한 '제6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3년차에 접어든 정책금융지원협의회가 변화하는 경제 현안에 대응하고 산업전략에 맞춘 신속한 금융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지난 2월 정부, 정책금융기관, 시중은행이 함께 만든 '76조원+α' 규모의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이 안착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경제가 어렵고 산업현장의 기대도 큰만큼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도 역대 최고 수준의 재정조기집행에 발맞춰 1분기 및 상반기 중 자금집행 목표를 전년대비 최대한 증액해 달라"며 "이에 더해 5대 은행에서도 투자·대출 프로그램 등을 조기 출시해 지원효과가 빠르게 현실화 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혁신성장펀드가 2년차에 접어드는 올해, 3조원 이상 신규 펀드를 조성하고 특히 최근 필요성이 높아지는 기후 및 AI 분야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외 정책금융 효과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 금융연구원과 신용정보원 등이 모여 평가방식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투자기업수가 적고 어느정도 사업 후 기간이 경과한 성장지원펀드로 시범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방법론을 고도화할 것"이라며 "결성 이후 3년이 지난 펀드 및 정책금융 전반의 자금지원에 대해 성과를 분석하는 방법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2050 탄소중립' 등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 기후금융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정책기관 및 은행권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올해도 각 부처에서 공유와 협조가 필요한 정책과제를 적극 발굴해주면 정책금융지원협의회의 논의의 폭과 활용도가 더 커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며 "금융위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