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슈플러스 노도강 아파트 거래 급감···이달 낙찰률 10%대로 '뚝'

이슈플러스 일반

노도강 아파트 거래 급감···이달 낙찰률 10%대로 '뚝'

등록 2024.01.18 11:16

김선민

  기자

공유

올해 들어 경매시장에서도 서울의 노도강(노원·도봉·강북) 거래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 기업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1∼16일 노도강 지역에서 모두 60건의 아파트 경매가 진행됐으며 이 중 6건만 낙찰돼 낙찰률 10.0%를 기록했다.

감정가 대비 낙찰가를 나타내는 낙찰가율은 78.9%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 전체 아파트의 낙찰률(30.3%)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서울 전체 낙찰가율은 86.4%였다.

지난해 12월 노도강의 낙찰률은 28.2%로, 서울 평균(29.8%)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지난해 하반기로 기간을 넓혀 봐도 노도강은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모두 서울 평균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으나 새해 들어 갑자기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이다.

최근 이 지역에서 집값 하락과 함께 매수 심리가 둔화한 것이 경매시장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거래된 서울 아파트 가운데 3분기보다 가격이 낮은 '하락 거래'는 52.6%였으며 도봉구(70.7%), 강북구(66.7%), 노원구(59.2%) 등이 평균을 웃돌았다.

'영끌족' 수요가 몰리며 노도강 집값이 고공 행진한 2021년에는 이 지역 매물에 수요가 몰렸다는 점도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

이주현 지지옥션 수석연구원은 "2021년에는 노도강 낙찰률이나 낙찰가율이 100%를 웃돌며 서울 평균을 앞섰다"면서 "지금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다만 "연말에 법원 일정 등으로 미뤄졌던 물건이 한꺼번에 나오면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어 좀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노도강의 가격 하락세가 나타나는 이유를 두고 전문가들은 서민 실수요층이 많이 찾는 지역적 특성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