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IT 경영 전면에 나선 김범수, '형 동생 문화'부터 없앤다

IT 인터넷·플랫폼

경영 전면에 나선 김범수, '형 동생 문화'부터 없앤다

등록 2023.11.08 07:17

강준혁

  기자

공유

카카오 '경영쇄신위' 설립···위원장엔 김범수 센터장내부통제 체계 손질 기구로 '준법과 신뢰위'도 마련경영진 물갈이 가능성 대두···"대대적인 개편 필요해"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미래 이니셔티브센터장이 경영 일선에 복귀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미래 이니셔티브센터장이 경영 일선에 복귀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위기에 빠진 회사를 구하기 위해 칼 빼 들었다. 업계에서는 김 센터장의 측근으로 평가받는 현 카카오 경영진이 첫 대상이 될 것이라 분석한다. '김범수식(式) 형님 리더십'이 현재 회사가 직면한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이유에서다.

8일 정보 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최근 김 센터장은 '경영쇄신위원회'(쇄신위)를 출범, 쇄신위 위원장으로 경영 일선에 복귀했다. 그룹 전체에 닥친 리스크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업자로서 직접 총대를 메고 나선 것. 지난해 3월, 글로벌 시장과 미래 먹거리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이유로 물러난 지 약 1년 8개월 만이다.

지난 6일 출범한 쇄신위는 그룹 내 주요 계열사 CEO들이 참여해 회사 문제점을 진단하고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역할을 맡는다. 그룹 전체가 비상경영에 돌입한 만큼, 계열사별 자율 운영 기조에서 김 센터장 중심의 책임 운영 기조로 경영 노선을 변경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 외부 감시기구 '준법과 신뢰위원회'(준법위)도 설치하고 초대 위원장으로 김소영 전 대법관을 선임했다. 준법위는 카카오 계열사의 주요 위험 요인을 선정해 조사하고 관리 감독할 권한을 갖는다. 관계사들의 준법 여부를 감시하고 내부통제 시스템을 쇄신할 집행기구 역할도 맡는다.

당시 김 센터장은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히 빠르게 점검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경영시스템을 갖출 때까지 뼈를 깎는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히면서 준법위에 힘을 실어줬다.

업계에선 이들 위원회가 가장 먼저 손 볼 곳으로 인사 시스템을 꼽는다. 현재 카카오가 직면한 문제가 경영진에게서 촉발됐다는 지적이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카카오를 비롯해 계열사 최고경영책임자(CEO) 대부분은 김 센터장과 오랜 기간 함께한 인물들이다.

그룹 계열사 CEO 다수의 임기가 내년 3월 경이면 끝날 예정이라 이런 분석은 보다 힘이 실린다. 해당 CEO 수는 계열사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총 77명인데, 대표적으로 ▲홍은택 카카오 대표 ▲이진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대표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 ▲문태식 카카오VX 대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조계현 카카오게임즈 대표 등이 있다.

그룹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CA협의체도 책임에서 자유롭진 못하다. 현재 CA협의체는 김 센터장을 비롯해 홍 대표, 송지호 크러스트유니버스 대표, 김정호 브라이언임팩트 이사장,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 권대열 카카오정책센터장 등 7인으로 구성돼 있다. 대부분 김 센터장과 창업 초기부터 동고동락한 인물들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수년 간 회사가 비판 받아 온 사안들을 되짚어 올라가면 결국 종점에는 경영진들이 있는데, 문제들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선 결국 대대적인 지배구조 개편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회사가 존폐 위기에 놓인 만큼 김 센터장이 그룹 수장 차원의 결단을 내릴지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