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김용재 금융위 상임위원, G20 금융당국과 글로벌 리스크 점검

금융 금융일반

김용재 금융위 상임위원, G20 금융당국과 글로벌 리스크 점검

등록 2023.07.09 10:37

차재서

  기자

공유

김용재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이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 참석해 글로벌 금융시장과 리스크, 가상자산 규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김용재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이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 참석해 글로벌 금융시장과 리스크, 가상자산 규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김용재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이 G20 금융당국과 글로벌 금융시장과 리스크, 가상자산 규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9일 금융위는 김용재 상임위원이 6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프루트 유럽중앙은행(ECB)에서 열린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회의에서 각 금융당국은 ▲글로벌 금융안정성 전망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등에 따른 영향 ▲기후위기 관련 금융리스크 대응 ▲가상자산 규제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김용재 위원은 "최근 은행 혼란에 대한 금융당국의 적극적 대응이 고금리 기조 완화 기대를 유발했고, 이로 인해 미국 FRB 등 주요국이 현재 유지 중인 고금리 기조와 불일치가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향후 고금리 기조가 지속될 경우 취약계층·기업의 채무불이행 등 신용리스크가 금융시스템의 핵심 리스크로 부각될 것"이라며 "각 국이 스트레스 테스트 등을 통해 자국의 취약한 고리를 사전에 점검하고, 상호 공유해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위원은 가상자산 규제와 관련해선 "EU의 미카(MiCA)법안은 27개 EU 회원국에서 일관되게 시행되고 전 세계 국가가 가상자산 법률체계 마련 시 참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FSB의 '가상자산과 글로벌 스테이블 코인 규제에 대한 권고안'이 비회원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효과적으로 이행되는 게 중요한 만큼 모델법(Model Law) 체계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밖에 그는 한국이 가상자산의 불공정거래 방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을 마련해 2024년 7월부터 시행한다고 소개했다. 또 시장질서 규제 등을 포함하는 2단계 법안도 FSB 권고안, 국제 논의동향을 감안해 마련할 계획임을 시사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