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1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SK, 비수도권에 5년간 67조 투자···지역경제 활성화 앞장

SK, 비수도권에 5년간 67조 투자···지역경제 활성화 앞장

등록 2022.09.14 11:35

수정 2022.09.14 13:03

이지숙

  기자

공유

리스크 선제 대응 위해 내년까지 국내에 73조 투자 결정차별적 기술 경쟁력 확보 위해 BBC 분야 R&D 5년간 25조 투자성장 동력 확보 위해 올해 1만3000명 이상 채용···전년比 50% 확대

사진=SK 제공사진=SK 제공

SK그룹이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 향후 5년간 67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SK그룹은 14일 주요 관계사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내 투자 및 R&D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SK그룹은 계속되는 경제위기와 지정학적 리스크에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내년까지 국내 생산시설에 73조원을 투자한다.

내년까지 단행될 국내 투자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반도체/소재 48조7000억원 ▲그린 12조8000억원 ▲디지털 9조8000억원 ▲바이오/기타 2조2000억원 등 BBC(배터리·바이오·반도체) 산업에 집중돼 있다.

이를 위해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올해부터 내년까지 전국에 약 5조원을 투자해 5G 등 유무선 통신망을 확충한다. 유무선 통신사들의 전국망 확충은 SK그룹 1·2차 협력업체는 물론 지방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이 가능한 분야로, SK그룹 투자에 따른 연쇄적인 경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SK E&S는 내년까지 전국에 약 1조원 이상을 투자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시설 및 도시가스 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SK그룹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차별적인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보고, 향후 5년간 ▲반도체/소재 22조1000억원 ▲그린 8000억원 ▲디지털 1조2000억원 ▲바이오/기타 1조1000억원 등 R&D에 25조원을 투자키로 했다.

이 외에도 SK그룹은 국내 투자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만 집중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배분했다.

SK그룹은 향후 5년간 국내에 투자키로 한 179조원 가운데 비수도권에 67조원을 투자해 지방경제 활성화와 국토 균형발전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비수도권 투자 분야는 ▲반도체/소재 30조5000억원 ▲그린 22조6000억원 ▲디지털 11조2000억원 2조원 ▲바이오/기타 2.8조원 등으로 SK그룹의 핵심 성장동력에 맞춰져 있다.

한편 SK그룹은 올해 사상 최대 규모인 1만3000명 이상을 채용한다. 이는 지난해 채용 규모인 8500명 대비 50% 늘어난 규모다.

올해 채용 규모를 늘린 것은 BBC 산업의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해서다. 특히 BBC 산업 중 배터리 사업은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1000명 이상을 채용했다.

SK 관계자는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등 SK그룹 핵심 전략산업의 생산 기반인 국내 시설을 지속적으로 신·증설하고, R&D에도 대규모로 투자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갈 예정"이라며 "국내 고용을 창출하고 소부장 협력업체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현재 계획된 중장기 투자는 차질없이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