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슈플러스 제조분야 대기업들, 글로벌 고객사에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받아

이슈플러스 일반

제조분야 대기업들, 글로벌 고객사에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받아

등록 2022.08.28 15:15

공유

대한상의, 300개 기업 조사···"RE100 확대 위해 정부 인센티브 필요"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국내 제조분야 대기업의 10곳 중 3곳이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제품 생산 과정에서 재생에너지 사용을 직·간접적으로 요구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제조기업 300곳(대기업 80곳, 중견기업 220곳)을 대상으로 'RE100'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14.7%가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았다'고 답했다고 28일 밝혔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이 28.8%로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를 받은 비율이 높았고, 중견기업은 9.5% 수준이었다.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은 시점은 '2030년 이후'가 38.1%로 가장 많았고, '2025년까지'(33.3%), '2026∼2030년'(9.5%) 등이었다.

RE100은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자는 민간의 자발적 캠페인이다.

RE100 캠페인에 동참하는 기업은 꾸준히 증가해 현재는 애플과 구글, BMW 등 379개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SK 7개 사와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등 22곳이 RE100에 가입했고 삼성전자도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RE100 캠페인 자체는 구속력이 없지만, RE100에 참여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 내 협력사들에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하면서 국내 기업에도 점차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다.

국내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실제 해외기업으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청받더라도 이를 공식적으로 밝히기 꺼리는 기업들도 상당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는 RE100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으면 수출 경쟁력에 큰 차질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기업들은 RE100 참여에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비용 부담'(35.0%)을 꼽았다. 이어 관련 제도 및 인프라 미흡(23.7%), 정보 부족(23.1%), 전문인력 부족(17.4%) 순으로 응답했다.

기업들이 비용 부담을 호소하는 것은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 부족 때문이라고 대한상의는 지적했다.

지난해 국내 전력사용량 상위 5개 기업은 한국전력으로부터 총 47.7TWh(테라와트시) 규모의 전력을 구매했는데, 지난해 국내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3.1TWh에 불과했다.

한편 기업들이 RE100 참여를 위해 정부에 희망하는 정책과제로는 '경제적 인센티브 확대'(25.1%)가 가장 많았고, '재생에너지 구매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 인정'(23.2%), '재생에너지 전력인프라 확대'(19.8%), '정보 및 재생에너지 사업자 매칭 컨설팅 지원'(16.5%) 순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는 전력거래계약(PPA) 부가비용 최소화와 녹색요금제 추가비용 면제, 인센티브 확대 등 국내 기업들의 RE100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과제들을 정부에 건의했다.

김녹영 대한상의 탄소중립센터장은 "해외 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국내 기업의 중소·중견기업 협력사까지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가 이어질 수 있다"며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중견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 증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