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백화점 소비 회복에···롯데쇼핑 2Q 영업익 전년比 5.4배↑

백화점 소비 회복에···롯데쇼핑 2Q 영업익 전년比 5.4배↑

등록 2021.08.06 16:55

정혜인

  기자

공유

지난해 2Q 이익 급감 기저효과로 수익성 크게 개선마트·슈퍼·영화관 등 적자 축소···롯데온 매출 감소

백화점 소비 회복에···롯데쇼핑 2Q 영업익 전년比 5.4배↑ 기사의 사진

롯데쇼핑이 백화점 사업부의 회복에 힘입어 2분기 실적이 소폭 개선됐다. 지난해 2분기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던 만큼 기저효과도 작용했다.

롯데쇼핑은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4.7% 증가했다고 6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조90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345억원으로 축소됐다.

롯데쇼핑의 상반기 매출액은 7조78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9.6% 늘어난 694억원으로 집계됐다. 여전히 당기순손실이 751억원 발생했으나 이는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다.

올 2분기에는 송도롯데몰 공사 지연에 따른 추징세금 323억원이 발생했다. 이 비용을 제외하면 2분기 영업이익은 3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50.0% 늘어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또 상반기에도 1분기 리츠 자산 취득세와 2분기 송도 롯데몰 추징세를 제외한 영업이익이 1449억원으로 170.8% 증가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올 2분기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난 것은 지난해 2분기 실적의 기저효과가 크다. 지난해 2분기 롯데쇼핑의 영업이익은 2019년보다 98.5%나 급감한 14억원에 머물렀는데, 이는 최근 10년간 롯데쇼핑의 영업이익 중 가장 적은 수치다.

이와 함께 백화점 사업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완화에 힘입어 회복했고 영업손실을 기록 중인 할인점, 슈퍼 등도 지난해보다 적자를 줄였다. 다만 이커머스는 올 2분기에도 부진을 지속했다.

사업부별로 살펴보면 백화점 사업부(롯데백화점)의 2분기 매출액은 7210억원, 영업이익은 6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2%, 40.9% 늘었다. 백화점사업부의 상반기 매출액은 1조3907억원, 영업이익은 165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9.8%, 127.7% 성장했다.

국내 백화점의 2분기 매출액은 7070억원, 영업이익은 57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8.2%, 41.3% 성장했다. 상반기 매출액은 1조3680억원, 영업이익은 15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0%, 98.0%씩 늘었다. 올 들어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완화하면서 소비심리가 회복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내 기존점의 전년 동기 대비 신장률은 2분기 10.3%, 상반기 14.0%를 기록했다. 해외패션이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생활가전, 식품 등도 매출이 크게 늘었다.

해외 백화점의 2분기 매출액은 1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50억원으로 37.0% 성장했다. 상반기 매출액은 290억원으로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했고, 영업이익 90억원이 발생해 흑자 전환했다. 해외 기존점의 전년 대비 성장률은 2분기 24.6%, 상반기 24.4%를 기록했다. 중국(14.8%), 인도네시아(81.1%), 베트남(20.7%) 등 모두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할인점 사업부(롯데마트)의 2분기 매출액은 1조42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했으나 영업손실은 260억원으로 축소됐다. 상반기 매출액은 2조9000억원으로 7.5%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250억원으로 개선됐다. 국내 점포 수는 롯데마트 112개, 롭스 88개로 지난 1분기보다 마트 1곳, 롭스 11곳을 정리했다. 회사 측은 식음료 중심으로 기존점 국내 매출 증가 및 판관비 절감으로 영업손실 규모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국내 할인점 2분기 매출액은 1조9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줄었고 영업손실은 280억원으로 축소됐다. 상반기 매출액은 2조26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 줄었고 영업손실은 360억원으로 감소했다. 국내 할인점 기존점의 전년 대비 신장률은 2분기 1.7%, 상반기 1.1%를 기록했다.

해외 할인점의 2분기 매출액은 3300억원, 영업이익은 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6%, 73.7% 감소했다. 상반기 매출액은 6400억원, 영업이익은 90억원으로 각각 13.2%, 54.1% 줄었다. 해외 할인점 기존점의 전년 대비 신장률은 2분기 -2.6%, 상반기 -7.0%를 기록했다.

롯데 사업부(롯데슈퍼)의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5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8% 감소했다. 다만 영업손실이 20억원으로 축소됐다. 상바닉 매출액은 74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9.0% 줄었으나 영업이익 10억원이 발생하며 흑자 전환했다. 판관비 절감 및 부진점 구조조정으로 2분기 영업적자 규모가 줄면서 상반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e커머스 사업부의 2분기 매출액은 2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320억원으로 확대됐다. 회사 측은 “지난해 4월 롯데온(ON) 오픈에 따른 회계기준 변경 영향으로 공시 매출이 감소한 것”이라며 “거래액 및 트래픽은 지속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자제품전문점(하이마트)는 2분기 매출액이 9880억원, 영업이익 3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4%, 52.3% 감소했다. 2분기 평년 대비 낮은 기온으로 에어컨 판매가 부진했고 전년 기저 효과로 전점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상반기 매출액은 1조9440억원, 영업이익은 590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4.8%, 33.8% 줄었다.

롯데홈쇼핑의 2분기 매출액은 27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18.1% 감소한 310억원에 머물렀다. 상반기 매출액은 5300억원으로 0.2% 늘었고 영업이익은 650억원으로 12.3% 감소했다. 송출수수료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했다.

롯데시네마를 운영하는 롯데컬처웍스는 2분기 매출액이 4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6%나 증가했다. 영업손실도 360억원으로 크게 줄였다. 상반기 매출액은 840억원으로 37.6% 줄었고, 영업손실도 750억원으로 축소됐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지난해 2분기 기저 효과가 있었고, 올 2분기 대형 외화 개봉으로 입장객이 늘어나면서 실적이 회복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