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윤종원 “디스커버리 펀드, 분조위 절차 통해 손실보상···내부통제 강화할 것”

윤종원 “디스커버리 펀드, 분조위 절차 통해 손실보상···내부통제 강화할 것”

등록 2021.02.18 18:05

주현철

  기자

공유

사진= 기은사진= 기은

윤종원 기업은행장이 18일 디스커버리 환매지연 사태에 대해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위원회 절차를 통해 손실 보상을 진행하겠다”면서 “향후 불완전판매 재발을 막기 위해 조직개편을 통한 내부통제 절차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윤 행장은 이날 서면으로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객관성이 담보되는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위원회 절차를 통해 디스커버리 펀드 보상을 진행하는 게 합리적 방안”이라면서 “앞으로도 분조위 절차에 성실히 임해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기업은행이 판매한 디스커버리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3612억원)‧디스커버리US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3180억원)는 2019년4월을 기점으로 914억 환매지연됐다. 이에 기업은행은 지난해 6월 이사회를 열고 핀테크 펀드 투자자에 한해 50% 선지급을 결정했다. 원하는 고객에게 가지급금을 우선 지급하고 분조위에서 최종 보상액이 결정되면 차액을 정산하는 방식이다.

기업은행은 손실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개별 사적화해를 추진할 경우 배임 이슈가 불거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투자자 손실을 보전하는 행위는 배임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110%의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기업은행에서 디스커버리 펀드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가지급금을 수령했다.

이와 관련해 윤 행장은 “사적화해는 그 내용에 따라 배임여부가 달라진다”면서 “자기책임원칙에 따른 사적화해를 하려면 당사자간 책임 범위에 대한 객관성 확보가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지난해 금융소비자보호그룹을 분리·독립하고, 고객 중심의 자산관리 컨트롤타워를 신설하는 등 조직개편과 내부통제 절차를 강화했다”며 “특히 전행 차원의 상품선정위원회를 신설하여 상품선정 프로세스를 보강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불완전판매 소지를 차단하기 위해 상품선정·판매 및 사후관리 전 과정을 개선했다”며 “금융상품 판매시 해피콜을 강화했고, 규정에 맞게 판매가 이뤄지는지 신규서류·녹취내용 등을 소비자보호점검팀에서 상시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