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고용 쇼크’ 심각, 내년도 일자리 예산 20조원 상회···고용환경 개선 총력

‘고용 쇼크’ 심각, 내년도 일자리 예산 20조원 상회···고용환경 개선 총력

등록 2018.08.19 17:18

안민

  기자

공유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고용 쇼크’가 최대 과제로 대두되면서 내년도 일자리예산이 20조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의장은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당·정·청 회의를 연 뒤 “내년 일자리 예산을 올해 증가율 이상으로 확대하는 등 내년도 재정기조를 보다 확장적으로 운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의장은 이어 “기존 주력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업종별, 분야별 일자리 대책의 순차 발굴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일자리 예산 증가율은 12.6%로 본예산 기준 19조2천억원, 추경 예산 기준으로는 20조원이다. 따라서 내년 일자리 예산이 올해보다 12.6% 이상 늘어나게 되면 최소 21조6천억원을 넘게 된다.

정부는 최근 긴급경제현안간담회에서도 일자리예산을 포함한 내년도 재정기조를 확장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고용상황 개선을 위해 가용한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하겠다는 복안이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국가재정포럼에서 내년도 총지출 증가율 목표를 올해보다 2%포인트 높은 7.7% 이상으로 가져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부터 올해, 내년까지 예산에서 최우선 투자 중점은 일자리 창출이다.

2017년 본예산 기준 일자리예산은 18조원에 달했다. 2016년 15조8천억원에서 7.9% 증가한 17조1천억원이 반영됐고, 추경을 통해 9천억원이 증액됐다.

하지만 매년 일자리 예산을 증액했는데도 국내 고용 환경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통계청의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5천명에 증가하는 데 그쳤다. 8년 6개월 만에 최저수준이다. 여기에 올해들어 취업자수 증가폭은 6개월째 10만명 안팎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은 “취업자수 증가폭이 5천명으로 떨어져 심각한 상황이며 중장기적 대책보다는 단기적으로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위주로 한 대대적인 2차 추경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뉴스웨이 안민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