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건산연, 해외사업 리스크 조기경보체계 구축

건산연, 해외사업 리스크 조기경보체계 구축

등록 2015.12.01 11:11

김성배

  기자

공유

준공 임박 해외사업 총액 규모 약 30조···손실 최소화 노력 시급

해외건설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손실을 선제적으로 파악해 최소화하기 위한 탐색 기능 확보가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된다.

1일 유위성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잠재 리스크 조기경보체계(Risk-EWS)를 통해 기업들이 수행하고 있는 사업들의 잠재 리스크를 탐색하고 분석한 결과, “2010년부터 수주한 사업들의 준공시점이 도래하면서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2015년을 시작으로 2016년 상반기에 본격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위기 대응 및 관리에 집중해 손실의 현실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유 연구위원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주 및 수행단계 리스크관리 강화로 위기 임박 상황을 사전에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위기 대응 및 통제 활동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조기경보체계(Risk-EWS)가 사업의 수익성 감소와 손실 규모 증가에 대한 직접적 원인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기업뿐 아니라 산업차원에서 잠재 리스크 추이와 규모를 탐색할 수 있어 선제적 대응이 시급한 사업과 시점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해외사업 잠재 리스크 조기경보체계(Risk-EWS)는 산업 차원에서 기업별로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할 수 있어 기업의 리스크 포트폴리오관리와 수익성 제고 전략 수립에 활용도가 높다”고 강조했다.

유 연구위원은 “2013년부터 최근까지 해외사업의 손실 규모가 약 6조원을 초과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재반복을 예방하기 위해 잠재 리스크 기반의 조기경보체계(Risk-EWS) 도입이 시급하다”면서 “위기 상황을 대응하기 위한 비용의 일부를 선제적 리스크관리 역량 강화에 투입할 경우 최근과 같은 상황에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ksb@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