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서민·중산층 적자가구 비율 증가

서민·중산층 적자가구 비율 증가

등록 2014.08.26 08:39

조상은

  기자

공유

2분기 23%로 작년대비 0.9% 포인트 상승

서민과 중산층의 적자가구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가구(2인 이상)의 적자가구 비율은 23.0%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분기에 비해 0.9%p 늘어난 것이다. 적자가구란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이다.

소득 분위별로 서민층으로 분류할 수 있는 2분위(소득 차하위 20%)의 적자 가구비율은 26.8%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3.1%포인트 증가했다.

2분기 기준으로는 2012년의 28.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3분위(소득 상위 40∼60%)의 적자가구 비율은 19.8%로 1년 전에 비해 3.8%p 늘었다. 2분기 기준으로는 2011년의 20.4%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와 관련 올해 2분기 2, 3분위 가구의 작년 동기 대비 소득 증가율은 각각 1.9%와 2.6%로 전체 가구의 소득 증가율 2.8%를 밑돌았다.

소득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2.4%)를 제외한 1분위(소득 최하위 20%)의 5.0%와 4분위(소득 상위 20∼40%)의 3.3%보다 낮았다.

이에 비해 2, 3분위의 2분기 소비지출 증가율은 각각 3.6%와 5.8%로 전체 가구(3.1%)는 물론 1분위 (0.7%)와 4분위(0.7%)에 비해 높았다. 5분위의 소비지출 증가율은 3.6%였다.

반면 1분위와 4분위의 2분기 적자가구 비율은 각각 48.4%와 11.7%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1%포인트와 1.4%p 줄었다.

조상은 기자 cse@

뉴스웨이 조상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