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삼성重 협력사 포함 7만명이 조선업 종사경기 불황에 수주위축·구조조정이어져 지역경제 휘청
거제지역 경제의 80%를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도맡고 있다. 뿐만 아니라 거제상공회의소에 등록된 550여개 중소업체 가운데 400여개가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에 기반을 둔 협력업체들로 양사의 불황은 곧 도미노 현상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사진=윤경현 기자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근로자들의 회식이 대폭 줄어들었습니다. 올해 매출 은 작년에 비해 20~30% 정도 떨어졌습니다. 이런 거제의 경제 상황은 거제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거제시에서 유명한 A 한식당을 경영하는 사장의 말이다. 거제시 경기가 급속도로 나빠지고 있다는 하소연이 곳곳서 들린다. 특히 거제시 인구 25만(2015년 3월 기 준) 가운데 조선 관련 업종 종사자는 7만명 정도다. 거제지역 경제의 80%를 삼성중 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도맡고 있는 셈이다.
뿐만 아니라 거제상공회의소에 등록된 550여개 중소업체 가운데 400여개가 대우조 선해양과 삼성중공업에 기반을 둔 협력업체들로 양사의 불황은 곧 도미노 현상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기자가 지난 주말 4일과 5일 양일간 나누어 거제시의 주요 중심가인 장평동과 아주 동 상가를 찾았다. 장평동은 삼성중공업 인근에 위치한 상가 밀집지역으로 금요일 은 상가 대부분이 회사동료들과 담소를 나누는 음식점과 술집이 흥하는 곳이다.
하지만 왁자지껄 소리가 나야할 음식점과 술집에는 몇몇 테이블을 제외한 한산했다 . 원인은 삼성중공업의 부진에 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수주 실적이 73억달러다 . 2013년의 150억달러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거제시 경기의 먹구름은 거제시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는 대우조선해양 인근 아주동 또한 마찬가지다. 새롭게 신장개업한 사장은 긴 한숨을 내뱉을 뿐 달리 손쓸 방법이 없다는 것이 젊은 사장의 설명이다. 사진=윤경현 기자.
삼성중공업의 부진에는 글로벌 경기 침체가 주요원인이지만 삼성중공업의 주력무기 인 심해 시추설비와 신규 선박 발주량이 30% 넘게 급감한 탓으로 풀이된다. 위기감 이 고조된 삼성중공업에 근로자들의 소비는 자연스럽게 줄 수밖에 없다.
회사 한 관계자는 “삼성중공업 입사 20년만에 이런 위기는 처음이며 노사는 새로 운 돌파구를 마련해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거제시 경기의 먹구름은 거제시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는 대우조선해양 인근 아 주동 또한 마찬가지다. 새롭게 신장개업한 사장은 긴 한숨을 내뱉을 뿐 달리 손쓸 방법이 없다는 것이 젊은 사장의 설명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최고의 한해를 보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글로벌 조선 경기 불황 속에서도 조선 빅3사 중 유일하게 수주목표를 달성했다. 매출액 16조7863억원, 영업이익 471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9.7%, 6.8% 증가했다.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올해 경영 목표로 매출액 14조500억원, 수주액은 130억달러를 목표로 설정했다. 전년대비 약 16% 가량 하락한 수치다. 지난 3월엔 한척의 선박도 수주하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이런 위축된 상황은 대우조선해양 사장 공백 사태 장기화로 신뢰도가 추락이 주원인이다.
거제시에 위치한 한 유명 숙박업소는 외부 관광객의 증가로 전년대비 매출액이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거제시 경기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관광수입이 크지 않다는 것이 거제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사진=윤경현 기자
최근 대우조선해양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정성립 사장을 추천했다. 갑작스런 변수가 없다면 정 사장이 차기 사장으로 선임될 것으로 전망된다.
노조 측은 정 사장이 선임되면 현대중공업과 동일한 방식으로 희망퇴직을 중심으로 회사 내부 인적 구조조정을 시도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런 불안한 요인들이 대내적으로 거제시의 경기를 어둡게 만들고 있다.
거제시 경제단체 한 관계자는 “하루 빨리 양사의 안정으로 거제시 경기가 다시 되 살아나야 하며 2015년 임단협 또한 어려운 조선경기에 발맞춰 노사가 상생을 도모 하는 안을 마련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경남(거제)=윤경현 기자 squashkh@

뉴스웨이 윤경현 기자
squashkh@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