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07일 수요일

  • 서울 19℃

  • 인천 18℃

  • 백령 14℃

  • 춘천 21℃

  • 강릉 18℃

  • 청주 20℃

  • 수원 19℃

  • 안동 20℃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21℃

  • 전주 20℃

  • 광주 21℃

  • 목포 19℃

  • 여수 20℃

  • 대구 20℃

  • 울산 20℃

  • 창원 20℃

  • 부산 20℃

  • 제주 18℃

가야의 “배모양토기” 김해에서 최초 출토

가야의 “배모양토기” 김해에서 최초 출토

등록 2012.05.24 14:44

강우권

  기자

공유

가야 배의 원형을 찾다

▲ 배모양토기 전경
(김해=뉴스웨이 경남취재본부 강우권 기자) 가야의 “배모양토기”가 김해시 진영 여래리고분군 Ⅱ구역 24호 목곽묘에서 가야권역에서는 처음으로 출토되었다.

진영 여래리고분군은 한국토지주택공사 경남지역본부가 추진 중인 진영 2지구 택지개발사업지구에 위치한 가야시기 유적이며, 현재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 의해 발굴조사가 시행되고 있다.

배모양토기는 경주 금령총과 대구 달성 평촌리유적에서 출토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출토지를 알 수 없다. 금령총은 6세기 전반에 해당하지만, 여래리와 평촌리출토품은 5세기전반의 것으로서 100년 정도 앞선다.

무덤에 묻히는 배모양토기는 죽은 이를 저 세상에 배를 태워 보낸다는 의미로 만든 것으로 학계에서는 보고 있다.

▲ 배모양토기 뒷머리
여래리고분군 출토 배모양토기는 길이 22.5㎝, 폭 10.5㎝, 높이 4.5㎝로 큰 편은 아니다. 이 배모양토기는 배 아랫부분의 생김새가 통나무배형에 속하는데, 배의 좌우에 각각 2개의 노걸이가 있으며, 배의 보에 해당하는 멍에가 배의 앞머리에만 있다.

그리고 배의 뒷머리 외면에는 키를 넣는 구멍으로 추정되는 원형의 띠가 붙어 있고, 그 좌우로 삼각형 안에 나뭇가지모양을 새긴 문양이 있다.

이번에 출토된 배모양토기는 해상왕국 가야의 선박에 관한 자료가 극히 부족한 상황에서 선박의 형태를 추정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가야 배의 원형을 추적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 배모양토기 측면
이 배모양토기는 현재 그 중요성으로 인해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경주사무소로 옮겨져 관리되고 있다.

앞으로 김해시에서는 발굴조사보고서가 간행된 후 김해시로 유물이 돌아오도록 문화재청과 지속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다.

/강우권 기자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뉴스웨이) pressdot@newsway.kr





뉴스웨이 강우권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