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30일 토요일

서울

인천 26℃

백령 23℃

춘천 25℃

강릉 28℃

청주 26℃

수원 26℃

안동 24℃

울릉도 27℃

독도 27℃

대전 26℃

전주 24℃

광주 25℃

목포 26℃

여수 26℃

대구 26℃

울산 25℃

창원 26℃

부산 26℃

제주 24℃

DDR5 검색결과

[총 13건 검색]

상세검색

D램 가격 5개월 연속 상승···범용 DDR4도 가격 폭등

전기·전자

D램 가격 5개월 연속 상승···범용 DDR4도 가격 폭등

메모리 반도체 D램과 낸드플래시의 월평균 가격이 5개월 연속 상승했다. 이 가운데 범용 제품인 DDR4 가격도 6년 6개월만에 5달러를 넘어섰다. 29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8월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1Gx8)의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달보다 46.2% 급등한 5.70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각각 22.22%, 27.27%, 23.81%, 50.0% 오른 데 이어 다섯 달 연속 급등한 규모다. 특히 DDR4 평균 고정거래가격이 5달러를 넘어선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10나노급 6세대 D램 '1c DDR5' 개발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10나노급 6세대 D램 '1c DDR5' 개발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10나노급 6세대 1c 미세공정을 적용한 16Gb(기가비트) DDR5 D램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로써 회사는 10나노대 초반의 극미세화된 메모리 공정기술을 세상에 내놓게 됐다. SK하이닉스는 "10나노급 D램 기술이 세대를 거듭하면서 미세공정의 난이도가 극도로 높아졌으나, 당사는 업계 최고 성능이 입증된 5세대(1b)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계 완성도를 높여 가장 먼저 기술한계를 돌파해냈다"며 "연내 1c DD

SK하이닉스, 인텔과 DDR5 성능 백서 발행···"전력 14% 절감"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인텔과 DDR5 성능 백서 발행···"전력 14% 절감"

SK하이닉스가 자사의 서버용 D램 DDR5가 인텔의 CPU에 탑재돼 최고 수준의 성능을 구현해 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와 인텔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백서(Whitepaper)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고 14일 밝혔다. 양사는 DDR5 개발 단계부터 긴밀히 협업했고, 지난 8개월간 인텔 4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이하 4세대 제온)에 DDR5를 탑재해 성능 검증을 진행했다. 4세대 제온은 인텔의 차세대 서버용 CPU로 PCIe Gen5 및 차세대

"모든 신호가 바닥 가리킨다"···반도체 '진짜 바닥론' 힘 실리는 이유

전기·전자

[NW리포트]"모든 신호가 바닥 가리킨다"···반도체 '진짜 바닥론' 힘 실리는 이유

삼성전자의 2분기 잠정실적 발표 후 '반도체 바닥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3사 중 두 곳인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이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발표하며 감산 효과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시장조사업체들도 3분기부터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세가 완만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기업들도 하반기부터 실적이 회복세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감산 효과 본격화…3분기부터 가격 하락 폭

감산 효과에 AI 특수···"3분기 D램 가격 오른다"

전기·전자

감산 효과에 AI 특수···"3분기 D램 가격 오른다"

올 하반기 반도체 업황 개선 가능성이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낸드에 이어 D램 계약가격이 3분기 상승세를 타기 시작하고 4분기에는 평균판매가격(ASP) 상승전환이 예상된다. 14일(현지시간)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D램 업체들은 낸드에 이어 D램 일부 제품에 대해서도 3분기 계약가격 인상을 추진 중이다. 만약 3분기 D램 제품 계약가격이 인상된다면 2021년 3분기 이후 2년 만의 가격 인상이다. D램 가격은 기업 간 계약에 따른 고정거래

SK하이닉스, 10나노급 5세대 DDR5 개발···인텔 검증 돌입

전기·전자

SK하이닉스, 10나노급 5세대 DDR5 개발···인텔 검증 돌입

SK하이닉스는 현존 D램 중 가장 미세화된 10나노급 5세대(1b)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검증 절차에 돌입했다고 30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10나노급 5세대 기술이 적용된 서버용 DDR5를 인텔에 제공해 '인텔 데이터센터 메모리 인증 프로그램' 검증을 거친다. 이 프로그램은 인텔의 서버용 플랫폼인 제온 스케일러블 플랫폼에 사용되는 메모리 제품의 호환성을 공식 인증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 이번에 인텔에 제공된 DDR5 제품은 동작 속도가 6.4G

SK하이닉스, 인텔 '사파이어 래피즈' D램 호환 인증

SK하이닉스, 인텔 '사파이어 래피즈' D램 호환 인증

SK하이닉스는 10나노급 4세대(1a) DDR5 서버용 D램을 인텔이 최근 출시한 신형 CPU에 적용할 수 있다는 인증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1a DDR5는 최첨단 EUV 노광공정이 적용된 메모리로 10나노급 4세대 D램이 인텔의 인증 받은 건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다. 서버용 D램은 중앙처리장치(CPU)와 결합돼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메모리로 그동안 이 시장의 주력제품은 DDR4였다. 인텔은 지난 10일 처음으로 DDR5를 지원하는 신형 C

"30GB 1초에 다운로드"···삼성전자, 12나노급 D램 개발

"30GB 1초에 다운로드"···삼성전자, 12나노급 D램 개발

삼성전자가 업계 최선단 12나노급 공정으로 16Gb(기가비트) DDR5 D램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최근 AMD와 함께 호환성 검증도 마쳤다. 2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유전율(K)이 높은 신소재 적용으로 전하를 저장하는 커패시터(Capacitor)의 용량을 높이고 회로 특성 개선을 위한 설계 등을 통해 업계 최선단의 공정을 완성했다. 또 멀티레이어 EUV(극자외선, Extreme Ultra-Violet) 기술을 활용해 업계 최고 수준의 집적도로 개발됐다. 12나노

SK하이닉스, 세계 최고속 서버용 D램 개발

SK하이닉스, 세계 최고속 서버용 D램 개발

SK하이닉스가 세계 최고속 서버용 D램 제품인 'DDR5 MCR DIMM'의 샘플 개발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이번 제품은 동작 속도가 초당 8Gb(기가비트) 이상으로 초당 4.8Gb인 서버용 DDR5보다 속도가 80% 넘게 빨라졌다. 이번 MCR DIMM 개발에는 DDR5의 동작 속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개념이 도입됐다. 그동안 DDR5의 속도는 D램 단품의 동작 속도에 좌우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었다. 하지만 이번 제품에서는 D램 단품이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