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컷
[한 컷]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가덕도신공항···84개월로는 공기 못 맞춰"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가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열린 국토교통부·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새만금개발청에 대한 2025년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총 1,294건 검색]
상세검색
한 컷
[한 컷]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가덕도신공항···84개월로는 공기 못 맞춰"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가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열린 국토교통부·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새만금개발청에 대한 2025년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건설사
건설업계, 업황 요동 속 신사업 투자 활발
주요 건설사들이 부동산 경기 침체 속 SMR·수소·모듈러 등 신사업과 미래 기술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물산은 국제 원자력 설계 인증을 획득해 SMR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했으며, 현대건설은 국내 최초 수소 생산기지를 준공했다. GS건설은 대규모 모듈러 주택 공장을 완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도시정비
압구정 재건축 새 장 연다···현대건설, 100년 도시 비전 제시
현대건설이 압구정2구역 재건축정비사업을 최종 수주했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아파트지구 특별계획구역 재건축정비사업조합은 지난 27일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열고 우선협상 대상자인 현대건설의 단독 입찰에 대해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 압도적인 지지 속에서 현대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이번 수주는 반세기 전 '압구정 현대'로 국내 주거문화의 새로운 장을 연 현대건설이 다시 압구정으로 돌아왔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시공
도시정비
도시정비 패권 다툼 가열···현대·삼성 선두 경쟁 '안갯속'
현대건설이 압구정2구역과 전주 전라중교 일원에서 하루만에 3조원대 수주에 성공하며 올해 누적 정비사업 수주액 8조7000억원으로 선두에 올랐다. 삼성물산도 문래동4가 재개발 사업을 확보하며 양사 간 재개발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도시정비시장 10조 클럽 입성과 최종 판도 변화가 주목된다.
도시정비
현대건설, 강남권 최대어 '압구정2구역' 재건축 시공권 확보
현대건설이 강남권 재건축의 상징으로 꼽히는 압구정2구역 시공권을 거머쥐었다. 사업비만 2조7000억원이 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2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이날 열린 압구정2구역 재건축정비사업조합 총회에서 참석 조합원 1431명 중 1286명의 찬성을 얻어 시공사로 최종 선정됐다. 찬성률은 약 90%에 달한다. 전날 서울중앙지법이 일부 조합원이 제기한 '시공사 선정절차 중지' 가처분 신청을 기각하면서 이날 총회는 예정대로 진행됐다. 압구정
분양
[부테크 현장] "부산의 대치·목동"···사직 명문학군 품은 '힐스테이트 사직아시아드'
부산 동래구 사직동에 8년 만에 들어서는 1군 브랜드 신축 아파트 '힐스테이트 사직아시아드'가 3040 젊은 부부를 중심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명문 초·중·고와 학원가 밀집, 뛰어난 생활 인프라, 현대건설의 브랜드 파워와 최신 평면 설계,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 등이 강점이다.
건설사
대형 건설사들, 영남권 분양 재개···부산·울산 중심 회복세
현대건설, DL이앤씨 등 대형건설사 중심으로 하반기 부산·울산 등 영남권에서 신규 아파트 분양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9월 분양성수기를 맞아 청약 열기가 높아졌으며, 부산·울산 모두 매매와 전세가격이 상승세를 보인다. 주요 단지의 청약경쟁률이 급등했고, 주택시장 회복과 지방 부동산 정상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건설사
삼성물산·현대건설 '해외 잭팟'··· GS·현대ENG·SK '침묵'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카타르·이라크 등지에서 초대형 해외수주에 연이어 성공하며 업계 선두를 공고히 했다. 반면 GS건설·현대엔지니어링·SK에코플랜트 등은 실적 부진을 면치 못하며 국내 건설업계의 해외수주 양극화가 심화되는 양상이다. 시장 재편이 본격화되고 있다.
부동산일반
가덕도 신공항 공회전 지속···현대건설 빠지고 예산도 깎였다
가덕도 신공항 사업이 예산 삭감과 현대건설의 이탈, 공사 기간 논란 등으로 추진 동력이 약해지며 장기 표류 중이다. 기획재정부의 국가계약법 해석에 따라 현대건설 징계가 어려워졌고, 재참여 가능성도 사라졌다. 예산 증액과 공기 연장을 확보하지 못하면 사업 추진이 힘들 전망이다.
건설사
아파트만으론 부족···건설사, 신재생에너지 사냥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사업 다각화 및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특히 태양광 발전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카타르 최대 태양광 프로젝트를 수주했고, 현대건설은 미국 텍사스 대형 사업에 착공했다. GS건설은 지역 주민과 수익을 공유하는 친환경 태양광 발전소를 준공하며 국내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