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약·바이오
존재감 커진 '국산신약'···미국서 2분기 약진
국산 신약이 미국 시장 공략에 성공하며 2024년 2분기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의 실적을 크게 끌어올렸다. SK바이오팜의 세노바메이트, 대웅제약의 나보타, GC녹십자의 알리글로, 유한양행의 라즈클루즈 등이 각각 매출 신기록을 달성했다. 미국 내 국산 신약의 성장세와 매출 확대가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총 190건 검색]
상세검색
제약·바이오
존재감 커진 '국산신약'···미국서 2분기 약진
국산 신약이 미국 시장 공략에 성공하며 2024년 2분기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의 실적을 크게 끌어올렸다. SK바이오팜의 세노바메이트, 대웅제약의 나보타, GC녹십자의 알리글로, 유한양행의 라즈클루즈 등이 각각 매출 신기록을 달성했다. 미국 내 국산 신약의 성장세와 매출 확대가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제약·바이오
더마코스메틱, 제약바이오 업계의 새 성장엔진 되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더마코스메틱 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선정하며 2분기 화장품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동아제약·휴젤 등 주요 기업의 실적이 두드러졌으며, 해외 진출과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요가 성장의 주 요인이다. M&A와 브랜드 확장을 통한 화장품 사업 다각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제약·바이오
[관세 타결]의약품 '최혜국 대우'에도 불확실···업계, 미국 정책 주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했으나, 의약품의 구체적 관세 적용은 불확실하다. 최혜국 대우가 약속되었음에도 업계는 세부 조건 미확정으로 긴장하고 있다. 관세 인하에도 수익성 저하, 약가 인상, 공급 차질 등 부작용 우려가 크다.
제약·바이오
제약바이오, 상반기 '1조 클럽' 가입 기대되는 곳은?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2024년 상반기 매출 1조원을 돌파하며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유한양행을 비롯해 녹십자와 종근당도 실적 개선이 두드러진다. 혁신 신약 및 해외 시장 공략이 실적 견인의 핵심 요인으로 분석된다.
제약·바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작년 탄소배출량 업계 최다
2023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7.3% 증가하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업계 최고 배출량을 기록했다. 매출 대비 배출량은 종근당바이오가 가장 높았으며, 다수 기업이 감축 실패했다. ESG와 스코프3 공시 의무화 등 글로벌 규제 대응이 업계 전반에 요구되고 있다.
제약·바이오
제약바이오 상위 30개사 여성 관리자 비율 23%
국내 상위 제약바이오 기업의 지난해 여성 임원 및 관리자 비율이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임원 비율은 13.5%, 여성 관리자 비율은 23.1% 수준이며, SK바이오팜과 한독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ESG 경영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기업의 다양성 개선과 정보 공개 확대가 요구된다.
제약·바이오
제약바이오 기업 60% 유동성 빨간불, 당좌비율 100% 미만 속출
국내 매출 상위 10대 제약·바이오 기업 중 6곳이 2023년 말 기준 당좌비율 100% 미만으로 단기 유동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C녹십자와 HK이노엔은 60% 이하로 더 악화됐다. 반면, 보령 등 일부 기업은 적극적인 자금 조달로 현금성 자산을 대폭 늘렸다. 최근 경기 침체와 고금리 환경 속에 제약바이오 업계는 현금흐름 및 유동성 관리 강화가 필수로 지적된다.
제약·바이오
제2의 조에티스 꿈꾼다···韓 제약사 '동물의약품' 진출 봇물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다. HK이노엔은 JAK-1 억제제를 활용한 아토피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큐라클은 만성신장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유유제약은 미국 스타트업에 투자하며 산업 진출을 강화하고 있으며, 보령과 케어젠은 건강기능식품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투자전략
[마감시황]코스피, 강보합 마감···코스닥은 2개월 만에 730선 돌파
코스피와 코스닥이 각각 강보합세와 상승세로 마감했다. 코스닥은 2개월 만에 730선을 회복했으며, 펩트론과 같은 제약/바이오 관련 주식의 상승이 영향을 미쳤다.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했으며, 로봇주도 주목받으며 상승세를 보였다.
제약·바이오
기업가치 제고 나선 제약바이오
제약바이오 업계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수익성 및 주주환원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JW중외제약과 한미약품 같은 대형 제약사들은 매출 증가와 배당 확대를 주요 목표로 설정하며,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통해 주주 가치를 극대화하려 한다. 다양한 기업이 높은 매출 성장 목표와 R&D 투자 확대를 통한 시장 평가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