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사우디 찍고 UAE로' 정의선 회장, '新 중동 신화' 향한 잰걸음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잇달아 방문하며 중동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우디 현지 생산법인 착공, UAE 국부펀드와 MOU 체결 등을 통해 전기차, 수소에너지, 미래항공모빌리티 등 신사업 협력을 강화하고, '제2의 중동 붐' 창출에 나섰다.
[총 775건 검색]
상세검색
자동차
'사우디 찍고 UAE로' 정의선 회장, '新 중동 신화' 향한 잰걸음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잇달아 방문하며 중동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우디 현지 생산법인 착공, UAE 국부펀드와 MOU 체결 등을 통해 전기차, 수소에너지, 미래항공모빌리티 등 신사업 협력을 강화하고, '제2의 중동 붐' 창출에 나섰다.
shorts
이재용·정의선과 치킨 먹은 젠슨 황···평소에는 '이것' 먹는다고?
이재용·정의선과 함께 치킨 먹방을 선보인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사실 젠슨 황은 재벌이지만 평소에도 서민 음식을 즐겨 먹는다고 합니다. 재벌답게 오마카세를 먹으러 가기도 하지만, 그마저도 20만원대이기에 검소한 편이죠. 인도네시아에 출장을 가서 유명 기업인과 인공지능에 관해 대담을 할 때도 '굴틱'이라는 길거리 음식을 먹었습니다. 엔비디아 본사에서 일하는 날에는 실리콘벨리의 평범한 직장인들이 들리는 가성비 훠궈 식당을 찾아가곤
한 컷
[한 컷]'AI 깐부동맹' 맺고 포옹 나누는 젠슨 황·이재용
(오른쪽)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광장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 본무대에서 포옹을 하고 있다. (왼쪽)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한 컷
[한 컷]"차에서 로봇까지"···정의선 회장, 엔비디아와 미래 생태계 구축 선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광장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 본무대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정 현대차그룹 회장,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한 컷
[한 컷]'AI 깐부 회동' 찾아 이재용·정의선 회장에게 선물 전달하는 젠슨 황
(오른쪽)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치킨집 '깐부치킨 삼성점'에서 (왼쪽 앞)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에게 준비한 선물을 전달하고 있다.
한 컷
[한 컷]러브샷으로 도원결의 맺은 젠슨 황·이재용·정의선 "우린 AI 깐부잖아"
(왼쪽)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오른쪽 윗)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치킨집 '깐부치킨 삼성점'에서 '치킨 회동'을 즐기며 러브샷을 하고 있다.
한 컷
[한 컷]'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 입장하는 젠슨 황·이재용·정의선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비롯한 내빈들이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광장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 주요 파트너 회사 부스를 방문하기 위해 부스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자동차
정의선 회장, 사우디 빈 살만과 회동···"다각적 사업 협력 기대"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첫 단독 면담을 갖고, 자동차산업 및 스마트시티,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현대차는 현지 신공장 HMMME를 통해 중동 시장 공략 및 사우디의 '비전 2030' 실현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자동차
정의선 회장, 트럼프에게 "한국 방문 기대···모두 한마음으로 준비"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미국 플로리다에서 열린 골프 행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에게 재계와 정부 모두가 트럼프 방한을 기대하며 준비 중임을 전달했다. 이번 만남은 고율 관세 등 한미 통상 현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현지 투자와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미국 정·재계 인사와 처음으로 단체 교류를 한 사례이다.
자동차
회장 정의선 5년, 현대차그룹 글로벌 2위 오르다
현대차그룹은 정의선 회장 취임 5주년을 맞아 글로벌 2위 완성차 기업으로 도약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략, 수소·로보틱스 등 미래 신사업 투자, 고부가가치 차종 확대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친환경차 누적 판매 700만대, 안정적인 생산·공급망 구축, 미래 모빌리티 기술 선점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