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화학
SK온,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 준공···"양산 시점 1년 앞당겼다"
SK온이 대전 미래기술원 내 파일럿 플랜트를 준공하고,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목표를 기존보다 1년 앞당긴 2029년으로 제시했다. WIP 공정 등 독자 기술을 적용해 황화물계와 리튬 메탈 배터리 개발을 본격화하며, 다양한 연구 협력과 소재 혁신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총 27건 검색]
상세검색
에너지·화학
SK온,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 준공···"양산 시점 1년 앞당겼다"
SK온이 대전 미래기술원 내 파일럿 플랜트를 준공하고,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목표를 기존보다 1년 앞당긴 2029년으로 제시했다. WIP 공정 등 독자 기술을 적용해 황화물계와 리튬 메탈 배터리 개발을 본격화하며, 다양한 연구 협력과 소재 혁신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에너지·화학
中·日 뒷걸음질하는 사이···삼성SDI '꿈의 전고체' 전력투구
최근 전기차 배터리 화재가 잇따르면서 안전성이 업계의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 해결책으로 꼽히는 전고체 배터리를 삼성SDI가 2027년 양산을 목표로 막바지 준비에 들어갔다. 하지만 CATL, 파나소닉 등 글로벌 배터리 강자들은 가격 경쟁력 한계에 부딪혀 점차 발을 빼는 분위기다. 이 틈을 노려 삼성SDI는 독자 기술력을 앞세워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 샘플 제공 단계까지 도달해 고
에너지·화학
SK온, 배터리연구원 명칭 미래기술원으로 변경
SK온이 기존 'SK온 배터리연구원'의 명칭을 'SK온 미래기술원'으로 변경했다. SK온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밝히며 '기술 주도 성장' 경영 기조에 맞춰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고 미래 기술 확보에 시동을 걸었다고 전했다. SK온은 차세대 기술을 신속히 확보해 미래 성장을 위한 결정적 모멘텀을 마련하고, 성장을 더욱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박기수 초대 SK온 미래기술원장은 "글로벌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고 시장 환경 변화도 빨라지고 있다"
에너지·화학
[전소연의 배터리ZIP]2026년 배터리 시장 키워드 톱5
#1. 베일 벗는 '꿈의 배터리' 불과 10여 년 전인 2015년만 해도 전고체 배터리는 시장에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당시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사실상 배터리 시장을 독점하고 있었고, 전고체 배터리는 단지 '화재에 강한, 에너지 밀도가 높은 배터리'로만 알려졌을 뿐이었죠. 전고체 배터리는 최소 15년, 20년 뒤에나 가능할 기술로 평가받았습니다. 하지만 10여 년이 지난 지금, 전 세계 배터리 기업들은 나란히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LG
에너지·화학
[인터배터리 2025]포스코퓨처엠 "LMR이 LFP 대응할 수 있어"
포스코퓨처엠은 LFP 양극재 개발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며, 중국과의 원가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LMR 양극재를 개발하고 있다. LMR은 미드니켈과 유사한 용량을 제공하며, 가격 경쟁력이 있다. 원료 다변화를 통한 제조 원가 절감도 추진 중이다. 전고체 배터리의 시장 대중화는 2027년 이후로 예상하고 있다.
전기·전자
삼성SDI, '인터배터리 2025'서 열전파 차단 기술 첫 선
삼성SDI가 '열전파 차단 기술'과 전고체 배터리(ASB), 셀투팩 제품 등을 앞세워 올해도 '인터배터리'를 찾는다. 23일 삼성SDI는 다음달 5일부터 7일까지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배터리 산업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삼성SDI는 이번 전시에서 '배터리 기술로 업그레이드 되는 우리의 일상'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다양한 차세대 배터리 제품과 혁신 기술을 선보인다. 먼
에너지·화학
SK온,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성큼'···연구개발 결과물 공개
SK온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속도를 낸다. 13일 SK온은 국내 유수 대학·기관과 함께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과제의 결과물이 논문으로 작성돼 최근 국제 학술지에 연이어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일부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국내외 특허 출원도 완료했다. SK온이 한국세라믹기술원 김진호 박사 연구팀과 함께 진행한 연구는 초고속 광(光)소결 기술을 적용한 고분자-산화물 복합계 전고체 배터리 제조 공정 고도화가 핵심
에너지·화학
'배터리 구원투수' 최주선, 삼성SDI 기술 경쟁력 이끈다(종합)
삼성SDI가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내정하며 위기 극복에 나선다. 28일 삼성SDI는 최주선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1963년생인 최 신임 사장은 전임자이자 '재무통'인 최윤호 삼성글로벌리서치 경영진단실장 사장과 반대로 엔지니어 출신 경영자다. 그는 서울대 전자공학 학사를 마치고 카이스트 전자공학 석·박사를 취득했다. 최 신임 사장은 지난 2004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에 입사해
전기·전자
삼성전기, '전고체 배터리' 세계 최초 개발···'장덕현 비전' 줄줄이 나온다
"다가올 디지털 미래는 'Core Technology(핵심기술)' 확보가 기업 생존 여부를 가를 것"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서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은 이같이 말했다. 이를 위해 전장용 하이브리드 렌즈, 글라스(유리) 기판, 전고체 배터리 등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며 각 산업의 앞글자를 따 '미-래(Mi-RAE)' 프로젝트 가동을 알렸다. '미-래' 프로젝트의 첫 작품은 전고체 배터리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
에너지·화학
롯데에너지머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파일럿 완공···150억원 투입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파일럿 공장을 완공하고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의 세일즈를 본격화한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전북 익산2공장에 150억원을 투자해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소재인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생산을 위한 파일럿 공장을 완공했다고 5일 밝혔다. 파일럿 공장은 부지 1619㎡를 활용해 연산 70톤(t)의 고체전해질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인허가 승인이 마무리되는 9월 말부터 시가동에 들어가 연말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