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 서울 33℃

  • 인천 33℃

  • 백령 30℃

  • 춘천 33℃

  • 강릉 33℃

  • 청주 34℃

  • 수원 33℃

  • 안동 35℃

  • 울릉도 28℃

  • 독도 28℃

  • 대전 34℃

  • 전주 35℃

  • 광주 33℃

  • 목포 32℃

  • 여수 33℃

  • 대구 36℃

  • 울산 33℃

  • 창원 34℃

  • 부산 33℃

  • 제주 31℃

소형아파트 검색결과

[총 11건 검색]

상세검색

소형아파트 매매가 '40억 찍었다'···한강 이남 평균가 역대 최고

부동산일반

소형아파트 매매가 '40억 찍었다'···한강 이남 평균가 역대 최고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아파트 매매 가격이 올해 처음으로 40억원대에 진입했다. 2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 전용 59.96㎡는 지난 2월 40억 5000만원(29층)에 팔렸다. 전국에서 40억원을 넘은 것은 이 거래가 처음이다. 올해 들어 반포동과 압구정동에서 40억원대에 팔린 소형 면적의 아파트 매매 계약은 상반기에만 9건이나 된다. 지난달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59.96㎡(6층)와 아크로리

서울 소형 아파트 매입비중 5년 연속 증가세

서울 소형 아파트 매입비중 5년 연속 증가세

서울 소형 아파트(전용면적 60㎡이하) 매입비중이 5년 연속 증가세다. 지난해는 55.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출이자 부담으로 소형 저가 아파트를 택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소형 아파트 매입비중은 2017년 36.6%, 2018년 36.9%, 2019년 41.0%, 2020년 42.2%, 2021년 46.4%였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소형 아파트 매입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성북구 74.5%였다. 이어 금천구 71.8%, 노원구 70.3%, 구로구 69.2%, 종로구와 중랑구 69.1%,

줄어든 59㎡ 아파트 공급에 아파텔·도시형생활주택이 뜬다

줄어든 59㎡ 아파트 공급에 아파텔·도시형생활주택이 뜬다

수도권 내 소형 아파트 공급량이 5년 새 반토막 난 가운데 아파텔 및 도시형생활주택 등 소형 주거시설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18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2015년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 공급된 아파트는 총 27만1560가구로, 그 중 약 25.8%가 59㎡ 이하의 소형 아파트였다. 반면 올해 공급 및 공급 예정 아파트는 총 27만1666가구로, 2015년과 비슷하지만 소형 아파트의 공급량은 12.6%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소형 아파트 소비층인 1~3인 가구 수

서울 소형아파트마저 3년만에 하락세 전환

서울 소형아파트마저 3년만에 하락세 전환

서울 부동산경기가 위축된 가운데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소형아파트까지 하락세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양지영 R&C 연구소가 KB국민은행 리브온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소형 아파트가 3년만에 하락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서울 소형 아파트 중위가격은 3억2281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4억1029만원보다 무려 8747만원 21.3%가 하락한 값이다. 소형 아파트 중위매매가격은 지난 2016년

지난해 소형 아파트 매매 거래량 전년 대비 14.5% 증가

지난해 소형 아파트 매매 거래량 전년 대비 14.5% 증가

치솟는 전셋값에 소형 아파트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18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거래된 전용 59㎡이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4만2654건을 기록했다. 전년도 12만4590건에 비해 1만8064건, 14.5%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면적 중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면적 별 전년 대비 상승률은 △59㎡초과~85㎡이하 9.3%, △85㎡초과~109㎡이하 5.7%, △109㎡초과는 9.1%의 상승률을 기록했다.가격 상승세도 소형 아파트가 단연 높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용면적

소형아파트 임대 ·투자용 수요 늘어난다

소형아파트 임대 ·투자용 수요 늘어난다

최근 임대와 투자를 목적으로 소형아파트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1%의 저금리 기조로 전세 대신 월세로 전환하고자 하는 임대업자들이 늘어나면서 임대와 투자용으로 소형아파트가 각광을 받고 있다.온나라 부동산정보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으로 전국의 전용 40㎡ 미만 초소형 아파트 거래량은 6632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5745건)보다 15% 늘어난 수준이다. 지역별로 서울이 올해 1119건으로 작년보다 64% 늘었고, 경기지역은 1241건

서울 소형아파트 매맷값 상승률 대형 5배

서울 소형아파트 매맷값 상승률 대형 5배

서울 소형아파트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KB국민은행이 16일 발표한 6월 2주차 주간 KB주택시장동향을 보면 올해 소형아파트(40.0㎡ 미만) 매맷값은 3.27% 올라 주택형 중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뒤이어 62.81㎡미만의 중소형이 2.87% 상승했고, 95.86㎡미만 중형은 2.10%, 135.0㎡미만의 중대형은 1.09%·, 135.0㎡이상 대형 0.66%· 순으로 나타났다.지역별로 가장 많이 오른 건 강남지역의 소형(3.49%)이었으며 강남 중소형(3.13%), 강북 소형(2.97%), 강북 중소형(2.64%) 순이었

소형아파트, 레저형세컨드하우스로 인기몰이

소형아파트, 레저형세컨드하우스로 인기몰이

최근 은퇴자 혹은 은퇴예정자들을 중심으로 휴식과 여가를 위한 세컨드하우스를 갖는 수요자가 늘고 있다. 다주택자들의 양도세 중과 폐지로 여러 채의 집을 갖는 데 대한 부담이 줄어들어 수요가 증가한 것.하지만 전원주택과 단독주택, 펜션 등의 세컨드하우스는 관리가 어렵고 환금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체 레저용 상품으로 콘도분양권이나 분양형 호텔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이 역시 구매비용이 만만치 않고 이용할 때마다 예약해야 하

서초구, 소형아파트 월세 136만원 서울서 최고

서초구, 소형아파트 월세 136만원 서울서 최고

서울 자치구별로 전용 60㎡미만 소형 아파트의 호당 평균 월세가격이 최대 2.4배까지 차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5년 2월 말 기준, 서울의 전용 60㎡미만 소형 아파트의 호당 평균 월세는 79만원으로 집계됐다. 월세가 가장 비싼 곳은 서초구로 136만원에 달했고 이어 ▲중구(124만원) ▲성동구(119만원) ▲용산구(116만원) ▲송파구(104만원) ▲강남구(102만원) 등이 100만원을 상회하며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도봉구(57만원) ▲노원구(61만원

전용 59㎡ 이하 소형아파트 분양흥행 이어간다

전용 59㎡ 이하 소형아파트 분양흥행 이어간다

1~2인가구가 급증하면서 분양시장에서도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가 대세로 떠올랐다.20일 통계청 인구·주택 총 조사에 따르면 2010년 1~2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48.2%로 절반에 가까웠다. 또 1~2인가구는 2025년에는 62.5%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추세에 발맞춰 건설사들도 소형아파트를 속속 선보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지난해 11월 분양한 ‘광명역 파크자이’에서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곳은 전용 59㎡A다. 112가구 모집에 1순위에만 3708명이 신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