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케이뱅크, 실적 부진 속 IPO 재시동···관전포인트 세 가지
케이뱅크가 세 번째 IPO를 추진하는 가운데 3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48% 감소해 실적 부진이 뚜렷해졌다. 외형은 성장했으나 수익성 악화, 판관비 증가, 예대마진 한계 등으로 상장 성공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비이자이익 확충과 자본력 강화, 차별화된 성장전략이 투자자 신뢰 회복의 관건이다.
[총 1,390건 검색]
상세검색
은행
케이뱅크, 실적 부진 속 IPO 재시동···관전포인트 세 가지
케이뱅크가 세 번째 IPO를 추진하는 가운데 3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48% 감소해 실적 부진이 뚜렷해졌다. 외형은 성장했으나 수익성 악화, 판관비 증가, 예대마진 한계 등으로 상장 성공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비이자이익 확충과 자본력 강화, 차별화된 성장전략이 투자자 신뢰 회복의 관건이다.
보험
삼성화재, 3분기 누적 순이익 1조7836억원···전년比 4.4%↓
삼성화재는 올해 3분기 지배주주 기준 누적 순이익이 1조7836억원으로 전년 대비 4.4% 감소했으며, 보험손익 역시 8.8% 줄었다. 자동차보험은 요율 인하와 자연재해로 적자 전환됐으나, 증시 호조로 투자이익은 20% 이상 증가하며 실적 방어에 기여했다.
인터넷·플랫폼
웹툰엔터테인먼트, 3분기 영업손실 206억원···적자 확대
네이버웹툰의 미국 자회사 웹툰엔터테인먼트는 2025년 3분기 영업손실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해 1488만달러(약 206억원)에 달했다. 반면 매출은 8.7% 늘어난 3억7804만달러를 기록했으며, 특히 IP 비즈니스 매출이 2.7배로 급증하는 등 성장세를 보였다.
에너지·화학
코오롱인더, 3분기 영업이익 269억원···전년比 12.7% ↓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25년 3분기에 매출 1조1806억원, 영업이익 269억원을 기록했다. 자동차 부품과 AI 반도체 소재, 화학부문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패션부문 부진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2.7% 감소했다. 63분기 연속 흑자 기조는 유지했다.
증권·자산운용사
한국투자증권, 증권사 최초 '순익 2조 클럽' 목전···김남구 '믿을맨' 김성환 해냈다
한국투자증권이 3분기 누적 순이익 1조6761억원을 기록하며 증권사 최초 '2조 클럽' 달성에 성큼 다가섰다. 브로커리지, 자산관리 등 전 부문의 고른 성장으로 영업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호실적을 이어갔다. 한국금융지주 실적 역시 대폭 개선됐다.
인터넷·플랫폼
한컴, 3분기 영업익 123억원···전년比 45.7% '급증'
한글과컴퓨터가 올해 3분기 AI와 클라우드 사업 성과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큰 폭으로 증가했다. 주요 AI 제품과 SaaS, 웹오피스의 수요 확대, 공공 및 해외 시장 대형 프로젝트 수주 등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게임
데브시스터즈, 3분기 영업손실 7억원···적자전환
데브시스터즈는 2025년 3분기 매출 감소와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나, 쿠키런: 브레이버스 카드 게임의 북미 흥행과 주요 게임 업데이트, 신작 오븐스매시 공개 등으로 4분기 매출 반등과 중장기적 IP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게임
네오위즈 3분기 영업익 265억원···전년 比 310% '쑥'
네오위즈는 2025년 3분기 매출 1274억원, 영업이익 26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7%, 310% 증가했다. PC·콘솔과 모바일 부문에서 'P의 거짓', '브라운더스트2' 등 대표 게임이 견조한 성과를 내며 실적을 이끌었다. 당기순이익도 250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삼성증권, 3분기 호실적에 목표가 줄상향···"배당 매력 부각"
삼성증권이 3분기 순이익 3092억원을 기록하며 증권가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했다. 브로커리지·자산관리·IB부문 성장과 거래대금 확대, 높은 배당수익률이 투자 매력을 높였다. 주요 증권사들은 목표주가를 잇따라 상향 조정하며, 중장기적 성장과 주주환원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게임
펄어비스, 3분기 영업익 106억원···전년 比 흑자전환
펄어비스가 2025년 3분기 1068억원의 매출과 10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검은사막의 신규 클래스 및 지역 업데이트와 외환 이익이 성장세를 이끌었다. 신작 붉은사막은 2026년 3월 출시를 확정하고 글로벌 기대를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