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서울 14℃

인천 14℃

백령 13℃

춘천 17℃

강릉 17℃

청주 17℃

수원 16℃

안동 17℃

울릉도 15℃

독도 15℃

대전 17℃

전주 17℃

광주 19℃

목포 16℃

여수 18℃

대구 18℃

울산 17℃

창원 19℃

부산 17℃

제주 18℃

금융 금융당국 "연체율 낮춰라" 직격···상호금융, 연말 '발등에 불'

금융 저축은행 위기의 상호금융

금융당국 "연체율 낮춰라" 직격···상호금융, 연말 '발등에 불'

등록 2025.11.04 10:50

문성주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금융감독원이 상호금융권 연체율을 연말까지 4%대로 낮추겠다고 발표

상호금융권 전반에 강한 연체율 관리 압박 가중

새마을금고 등 일부 기관도 경고 대상 포함

숫자 읽기

2023년 말 상호금융권 연체율 2.97%에서 2024년 6월 말 5.70%로 급등

신협 8.36%, 수협 7.82%, 산림조합 7.46%, 농협 4.70%로 집계

국내 은행 평균 연체율 0.61%와 큰 격차

새마을금고 연체율 8.37%로 20년 만에 최고치

프로세스

금감원, 각 상호금융에 연체율 관리 방안 제출 요구 및 검토 중

신협 등 연체율 높은 기관에는 개별 목표 부여

부동산 PF 등 고위험 부문 별도 관리

연체율 관리 이행 여부 주간·일간 단위 점검 계획

어떤 의미

상호금융권 부실 심화 시 예금자 피해, 뱅크런 우려 커짐

금융권 신뢰도 하락 가능성

적극적인 부실채권(NPL) 매각 유도, 실적 악화와 조합원 불만 우려

반박

NPL 매각 시 손실 인식 불가피

실적 악화로 조합원 배당 축소, 내부 반발 존재

신협 8.36%·새마을 8.37%···은행 평균 연체율 0.61%과 대조금감원, 연체율 관리 방안 제출 요구···"연말까지 4%대로"새마을금고도 압박···당국, 적극적인 부실채권 매각도 유도

금융당국 "연체율 낮춰라" 직격···상호금융, 연말 '발등에 불' 기사의 사진

금융감독원이 상호금융의 연체율을 연말까지 4%대로 낮추겠다고 밝히는 등 연일 상호금융권에 대한 압박을 더하고 있다. 특히 금감원은 행정안전부의 감독을 받고 있는 새마을금고에 대해서도 경고를 던졌다. 상호금융권은 올해 말 금융당국의 칼날을 피하기 위해 연체율 관리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농협·신협·수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권(새마을금고 제외)의 연체율은 5.7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23년 말(2.97%)과 비교해 2배 가까이 상승한 수치다.

상호금융별로는 신협이 6월 말 기준 8.36%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말(6.03%)와 비교해 6개월 새 연체율이 2.33%p 더 상승했다. 수협은 같은 기간 1.08%p 오른 7.82%로 집계됐다. 산림조합과 농협은 각각 1.78%p, 0.82%p 상승한 7.46%, 4.70%로 나타났다. 지난 8월 국내 은행의 평균 연체율이 0.61%인 점과 비교하면 부실이 심각한 상황이다.

금감원은 최근 상호금융권에 올해 연체율 관리 방안을 제출받고 이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올해 말까지 상호금융권의 평균 연체율을 4%대로 낮추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금융당국은 먼저 상호금융 중 연체율이 가장 높은 신협에 고삐를 당겼다. 금감원은 최근 신협중앙회에 평균 연체율을 연말까지 6%대로 낮출 것을 주문했다. 특히 신협의 금고마다 부실채권 정리 목표를 부여하고 그 목표를 방만하게 세우지 않도록 협의 중이다.

또 연체율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해서 정리 목표를 따로 세우도록 했다. 이후 금감원은 실제 이행 여부를 주간·일간 단위로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금융감독원의 직접 감독을 받고 있지 않은 새마을금고도 연말 연체율 관리 경고에서 자유롭지 않다. 지난 6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8.37%로 신협보다도 더 높았다. 지난해 말(6.81%)과 비교해 1.56%p 상승하며 20년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행안부가 감독권한을 가지고 있어 이번 금감원 관리 대상에선 제외됐다. 다만 이찬진 금감원장이 최근 국정감사에서 "새마을금고는 계속 지적되는 부분이라 금감원도 굉장히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밝히면서 연말 연체율 관리에 불이 붙는 모양새다.

이번 금감원의 연말 연체율 관리는 상호금융권의 건전성 악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된다. 지역금융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상호금융이 부실해지면 예금자에게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호금융 조합의 악화로 돈을 빼려는 예금자가 급증하는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 사태가 발생할 우려를 줄일 수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상호금융발 뱅크런 등 건전성 악화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면 결국 은행 등 금융권 전반에 대한 고객의 신뢰성이 악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당국에 제출한 계획서에는 전체 부실 현황뿐만 아니라 향후 발생할 예상 부실까지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국은 상호금융의 연체율을 낮추고자 적극적인 부실채권(NPL) 매각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상호금융권은 향후 부실까지 포함해 부실채권을 정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올 상반기 3조8000억원에 달하는 NPL을 매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반기에도 '새마을금고자산관리회사(MG AMCO)'를 통해 더욱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타 상호금융 역시 NPL 매각에 나서는 모습이다.

다만 상호금융권은 NPL 매각이 손실로 반영되는 만큼 실적 악화 우려로 반발하는 분위기이다. 한 상호금융권 관계자는 "부실채권 매각 시 평가액보다 더 저렴하게 판매할 수밖에 없고 결국 손실로 여겨진다"며 "실적 악화는 조합원들에게 배당을 주지 못하는 문제로 이어져 조합원들의 불만을 고스란히 감당하게 된다"고 토로했다.
ad

댓글